지난 6월 4일, 산업안전공단은 2007년부터 3년 동안 산업재해 피해를 입은 이주노동자가 2007년 3967명, 2008년 5221명, 2009년 5231명이라고 발표했다. 그 중 사망자는 2007년 87명, 2008년 117명, 2009년 101명이었다.
물론 이 숫자가 다는 아니다. 아는 사람은 다 아는 사실인데, 이주노동자들은 비자가 없거나 있더라도 모르거나 계속채용 혹은 재계약 약속 때문에 산재 피해를 입어도 산재로 처리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그 숫자가 얼마나 되는지는 사실 아무도 모른다. 한국 상황에 서툴고 열악한 환경에서 일하는 이주노동자들이 산업안전에 유독 취약하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더욱이 이들은 '이 땅에서 떠나갈 사람들'이다. 떠나갈 사람들이기에 우리는 그들을 쉽게 잊게 된다. 떠나간 사람들이기에 치료가 부족하거나 법적으로 보장된 여러 혜택을 받지 못해도 우리는 알지 못한다. 치료해주고(!) 법적으로 규정된 모든 혜택을 받고 돌아가면 우리가 할 일은 다했다고 여기는 것이 일반적인 생각이다.
그런데 정말 그렇게 여기고 말아도 되는 것일까? 이런 의문을 가지고 산재피해 후 귀환한 그들의 삶을 잠깐 살펴보고자 공익변호사그룹 공감과 외노협, 외국인이주노동자인권을위한모임에서 작은 조사를 기획했다.
이렇게 해서 지난 6월, 노동인권회관 박석운 소장, 외국인이주노동자인권을위한모임 소장인 필자, 외노협의 이경숙 간사 이렇게 세 사람이 몽골로 갔다. 그곳에서 23명의 산재피해자들을 만났다. 모두 2000년 이후 한국에서 취업하다가 산재피해를 입었던 사람들이다.
한국에서도 늘 하는 상담이었지만, 그들의 땅에서 그들을 만나보니, 그 감도가 달랐다. 그들은 거의 다 잔잔하게 자신의 사례를 설명해주었다. 나직한 목소리로 잔잔한 표정으로, 그 잔잔함이 듣는 한국인들에게 민망함과 미안함을 더해주었다.
그렇게 들었던 그들의 사연을 그들의 목소리로 공개한다. 이미 지나간 일들을 들춰 괜히 미안함을 더하기 위함이 아니고, 누군가를 비난하거나 비판하기 위함도 아니다. 다만, 지금도 또 앞으로도 생겨날 또 다른 그들이 안전하게 귀환할 수 있게 뭔가 변화가 있기를 바라는 마음에서다.
사실관계에서는 그들이 이해했던 그대로 서술했다. 확인을 거치지 않았기 때문에 잘못 이해한 점이 있을 수도 있다. 그러나 이 역시, 그들이 그렇게밖에 이해할 수 없었던 상황이었다고 이해하면 무리가 없을 것이다. 그리고 오래전의 일이라거나 제도가 바뀌었다는 등의 이유로 애써 위안을 받으려고 노력할 필요도 없다. 고용허가제 노동자, 산업연수생, 미등록체류자, 10대 소년, 형제 산재피해자 등 고루고루 사례를 취합하였으니 말이다.
인터뷰를 마치고 나서 오랫동안 기억에 남은 말이 있다. 어떤 피해자가 한 말이기도 하고, 한국으로 몽골인을 송출하는 업무를 맡은 몽골인이 한 말이기도 하다.
"한국에 갈 때, 몽골인들은 모두 건강검진을 받고 간다. 우리는 건강한 젊은이들을 보내준다. 그러니 돌려보낼 때도 건강하게 돌려보내줘야 하는 것 아니냐!"
다음은 한국에서 산재를 입은 몽골 부부의 사연을 당사자가 구술한 것이다. <필자 주>
아내와 두 아이가 있는 나는 2005년 6월에 고용허가제로 한국으로 취업했다. 이 당시 나의 처도 함께 고용허가제로 한국에 취업했었다.
한국에 가기 전에 한국에서 일했던 사람들에게서 한국에 관한 정보를 어느 정도 들었고, 사전교육을 통해 한국에 대한 정보를 어느 정도 얻었다. 내가 들은 한국 정보로 미루어보건대 한국생활이 어려울 것이라고 예상은 했다. 하지만 공장 환경이 그 정도로 심각할지는 몰랐다.
계약서와 달랐던 회사들
당연히 계약할 때 충분한 정보를 얻지 못했다. 계약서상으로는 가구공장이었는데, 막상 한국에 가서 보니 가구공장이 아니라 플라스틱 공장이었다. 이런 경우가 나만이 아니다. 다른 친구도 가구공장이라고 계약서에 써있어서 그렇게 알고 갔었는데, 실제로는 금속공장인 경우가 있었다.
사전교육을 통해 한국어를 익히는 것은 조금 도움이 되었으나 산업안전분야에 있어서는 도움이 되지 않았다. 한국에 입국한 후 여주(한국입국후 교육받는 교육기관이 있는 곳:필자)에서 교육받을 때 1~2시간 산업안전에 대해 교육받은 것 같다. 당시 교육자료도 제공되었고, 몽골어로 강의를 했었다.
예상보다 훨씬 열악했던 공장과 기숙사
첫 회사인 플라스틱 공장에 한 달간 다니다가 일이 없어 회사 옆에 있는 쇠파이프 만드는 공장으로 옮겼다. 공장에는 한국인 2명, 몽골인 2명, 중국인 1명이 일하는 작은 공장이었다. 그 공장은 정말 일하는 환경이 너무 나빴다. 너무 더럽고, 너무 시끄럽고, 겨울인데도 창문, 대문이 다 열려져 있고, 천장도 반 정도는 없고, 일할 때 손에 감각이 없을 만큼 추웠다. 공장 바닥에는 기름도 많고 까맣고 더러웠다. 작업시간은 아침 8시부터 저녁 6시 반이고, 일이 힘들기 때문에 야근 같은 것은 없었고, 일요일에는 가끔 일했다.
기숙사는 컨테이너였다. 샤워시설도 없고 물통에서 물을 덜어다 물을 데워 사용했다. 기숙사는 한국인 1명과 몽골인 2명이 사용했다. 공장 바로 옆이어서 너무 시끄러웠다. 이 공장에서 8개월간 일했다.
나는 금속파이프를 액체에 넣었다가 뜨거운 것에 넣어 휘게 만드는 일을 했다. 처음에는 월 60여만 원 정도를 받았다. 그 당시 손이나 다리 관절마다 다 아파서 파스 같은 것을 붙이고 다녔다. 그리고 기숙사도 너무 시끄러웠기 때문에 그 소음 때문에 지금도 귀가 잘 안 들린다. 시간이 갈수록 몸은 점점 아파지고 식욕도 잃었고 말도 안 하고 나는 잠도 잘 못 자는 상태가 되었다. 그 공장에서는 점심, 저녁을 1시간 이내에 스스로 만들어먹어야 해서 더 힘들었다. 힘들어서 사장님에게 이런저런 것을 요청해보았지만 들어주지 않았다.
그러자 공장을 변경하려고 아내가 여기저기 알아보러 다녔다. 당시에 아내도 한국에서 취업했었는데 나는 아내가 일하는 공장으로 회사를 바꾸었다. 공장을 옮기면서 아내와 같이 살 수 있었고 아내가 돌봐주었지만 소용이 없었다. 1주일간 공장에서 일을 했지만 상태가 낫지 않아 아내가 일하는 회사의 사장님이 나를 데리고 병원에 가보라고 해서 병원에 갔다. 병원에서는 내 질병이 스트레스 때문이라고 했고, 사장님이 치료 잘 받아야 한다고, 이러다 죽을 수도 있으니 5년 간 철저히 치료해야 한다고 해서 겁이 난 아내가 귀국하게 해서 2006년 7월에 귀국했다. 그 당시 치료비는 아내가 일하는 공장의 사장님이 돈을 냈다. 질병의 원인을 제공한 두번째 공장의 사장님이 내가 스트레스로 인해 아프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지만 그 사장님에게 치료비를 청구하지는 않았다.
몽골로 귀국한 후 1년간 몽골에서 치료를 받았다. 말도 안하고, 밥도 안 먹고, 잠도 자지 않는 상태가 1년 동안 지속되었다. 몽골에서의 1년간 치료비는 부모님이 부담하셨다. 2006년 9월 몽골병원에 1달간 입원, 2007년 5~8월 입원, 2010년 4~6월 이렇게 병원에 입원하였다. 2008년에는 아내도 귀국했다.
한국에서 산재신청은 전혀 하지 않았다. 산재신청을 할 수 있는지도 몰랐다. 산재는 물리적인 것만 해당하는 줄 알았고, 정신적인 문제가 산재보상을 받을 수 있는지 몰랐다.
- 다음은 함께 인터뷰한 아내의 말이다(필자)
우리는 삶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외국으로 갔어요. 그런데 반대로 우리는 건강을 잃었어요. 남편은 한국에 간 지 1년 만에 돌아왔어요. 과로 때문에 스트레스를 너무 많이 받아서 건강을 잃었어요. 그 때문에 몽골에서도 일을 할 수 없어요.
남편은 한국에 가기 전에 가죽공장에서 일했었는데, 귀국하고서 다시 가죽공장에서 일 해 보려 했지만 할 수 없었어요. 일을 하자마자 온 몸에 땀이 나고 힘이 들고 해서 할 수 없었어요. 그래서 장애인으로 등록해서 지원금으로 월 5만 투그릭을 받아요. 우리가 한국에 갔을 때 막내가 2살이었는데, 한국 가기 전에는 아이들과의 관계가 아주 좋았어요. 그런데 귀국한 아빠가 말도 안 하고, 화도 많이 내고, 아이들을 야단만 치고 하니까 아이들이 아빠를 무서워해요.
한국정부가 산업안전에 관한 정보를 자세히 제공해주었으면 좋겠어요. 일자리 변경하는 것도 너무 어려웠어요. 남편의 상태가 안 좋아 공장을 바꾸려고 했는데 공장 사장님에게 3~4개월 동안 사정해야 했어요. 부부들끼리 같은 공장에서 일하면 안 된다고 하는데, 부부가 같이 일할 수 있었으면 좋겠어요. 우리도 부부인 것을 비밀로 하고 남편이 내가 있는 공장으로 온 거예요.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