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화면으로
"뼈가 부러졌는데, 수술하지 말라고?"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밴드 공유하기
  • 인쇄하기
  • 본문 글씨 크게
  • 본문 글씨 작게
정기후원

"뼈가 부러졌는데, 수술하지 말라고?"

[몽골 이주노동자, 한국을 말하다 <11>] 빈발하는 산업재해

지난 6월 4일, 산업안전공단은 2007년부터 3년 동안 산업재해 피해를 입은 이주노동자가 2007년 3967명, 2008년 5221명, 2009년 5231명이라고 발표했다. 그 중 사망자는 2007년 87명, 2008년 117명, 2009년 101명이었다.

물론 이 숫자가 다는 아니다. 아는 사람은 다 아는 사실인데, 이주노동자들은 비자가 없거나 있더라도 모르거나 계속채용 혹은 재계약 약속 때문에 산재 피해를 입어도 산재로 처리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그 숫자가 얼마나 되는지는 사실 아무도 모른다. 한국 상황에 서툴고 열악한 환경에서 일하는 이주노동자들이 산업안전에 유독 취약하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더욱이 이들은 '이 땅에서 떠나갈 사람들'이다. 떠나갈 사람들이기에 우리는 그들을 쉽게 잊게 된다. 떠나간 사람들이기에 치료가 부족하거나 법적으로 보장된 여러 혜택을 받지 못해도 우리는 알지 못한다. 치료해주고(!) 법적으로 규정된 모든 혜택을 받고 돌아가면 우리가 할 일은 다했다고 여기는 것이 일반적인 생각이다.

그런데 정말 그렇게 여기고 말아도 되는 것일까? 이런 의문을 가지고 산재피해 후 귀환한 그들의 삶을 잠깐 살펴보고자 공익변호사그룹 공감과 외노협, 외국인이주노동자인권을위한모임에서 작은 조사를 기획했다.

이렇게 해서 지난 6월, 노동인권회관 박석운 소장, 외국인이주노동자인권을위한모임 소장인 필자, 외노협의 이경숙 간사 이렇게 세 사람이 몽골로 갔다. 그곳에서 23명의 산재피해자들을 만났다. 모두 2000년 이후 한국에서 취업하다가 산재피해를 입었던 사람들이다.

한국에서도 늘 하는 상담이었지만, 그들의 땅에서 그들을 만나보니, 그 감도가 달랐다. 그들은 거의 다 잔잔하게 자신의 사례를 설명해주었다. 나직한 목소리로 잔잔한 표정으로, 그 잔잔함이 듣는 한국인들에게 민망함과 미안함을 더해주었다.

그렇게 들었던 그들의 사연을 그들의 목소리로 공개한다. 이미 지나간 일들을 들춰 괜히 미안함을 더하기 위함이 아니고, 누군가를 비난하거나 비판하기 위함도 아니다. 다만, 지금도 또 앞으로도 생겨날 또 다른 그들이 안전하게 귀환할 수 있게 뭔가 변화가 있기를 바라는 마음에서다.

사실관계에서는 그들이 이해했던 그대로 서술했다. 확인을 거치지 않았기 때문에 잘못 이해한 점이 있을 수도 있다. 그러나 이 역시, 그들이 그렇게밖에 이해할 수 없었던 상황이었다고 이해하면 무리가 없을 것이다. 그리고 오래전의 일이라거나 제도가 바뀌었다는 등의 이유로 애써 위안을 받으려고 노력할 필요도 없다. 고용허가제 노동자, 산업연수생, 미등록체류자, 10대 소년, 형제 산재피해자 등 고루고루 사례를 취합하였으니 말이다.

인터뷰를 마치고 나서 오랫동안 기억에 남은 말이 있다. 어떤 피해자가 한 말이기도 하고, 한국으로 몽골인을 송출하는 업무를 맡은 몽골인이 한 말이기도 하다.

"한국에 갈 때, 몽골인들은 모두 건강검진을 받고 간다. 우리는 건강한 젊은이들을 보내준다. 그러니 돌려보낼 때도 건강하게 돌려보내줘야 하는 것 아니냐!"

다음은 산재로 쇄골이 부서진 몽골 노동자가 자신의 사연을 구술한 것이다. <필자 주>

나는 2005년 9월에 고용허가제로 한국에 취업했다. 한국에서 3년간 고용허가제로 일하다가 사고를 당한 후 귀국했다. 한국에서 두 군데 회사를 다녔는데, 첫 번째 회사는 싱크대 만드는 회사였다. 거기서 1년을 일했고, 두 번째로 싱크대를 만드는 다른 회사에서 2년간 일했다. 두 번째 회사는 경기도 광주시에 있는 회사였는데, 그 회사에서 나는 완제품을 차에 싣고 배달하는 일을 주로 하고, 바쁠 때는 여러 일을 했다.

사고가 난 때는 2007년 겨울이었는데, 그날은 쉬는 날이었다. 당시에 나는 기숙사에서 지내고 있었는데 2층에서 사무실에 있는 커피를 마시려고 계단으로 내려오다가 미끄러졌다. 아침 9시경이었고, 쉬는 날이어서 나 혼자 기숙사에 있었다. 계단으로 굴러떨어졌고 쇄골이 골절되었다. 기숙사 내에는 사람이 없었고 나는 잠시 정신을 잃었었다. 좀 지나서 일하는 한국 사람이 보고 깨워서 병원에 데려갔다.

그날은 병원에서 별다른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 나도 괜찮은 것 같아서 다음날 일을 했는데 아파서 운전을 할 수 없었다. 다시 병원으로 가서 X레이 촬영을 했더니 쇄골이 부러져 어긋나 있었다. 사장님은 '수술하지마, 괜찮아 일해'라고 말했지만, 너무 아파서 다음날 수술했다. 수술비는 사장님이 산재로 처리해 주었다. 병원에 1주일간 입원했고 이후 통원 치료했다.

수술할 때 뼈에 심을 박았었다. 그런데 치료가 다 끝나고 몽골에 귀국하려고 병원에 가서 심을 뺐다. 그때 보니 쇄골 부위 피부가 약간 솟은 듯 했다. 의사가 그걸 보고 '뼈가 불룩하게 나올 수 있는데, 그럴 때는 다시 치료 받으라'고 했다. 그러나 그 당시에는 피부만 솟은 듯 했고, 아프지도 않았고 잘 모르기도 하고 해서 나는 크게 신경 쓰지 않았다. 그 이후 1달쯤 지나 귀국했는데, 그 부위가 점점 더 솟아오르더니 아주 작은 구멍이 생겼다. 아프지는 않는데, 샤워하면 구멍으로 물이 스며들어간다. 그리고 손으로 구멍 아래를 밀어올리면 물이 나온다. 그리고 잠잘 때 왼쪽으로 몸을 돌리기 힘들다.

몽골에 있는 병원에 가보았는데 별말 없었고 전통의학요법으로 뼈를 누르면 될 것 같다고 했는데 혹시 잘못 될까봐 안했다. 한국에서 치료받는 게 나을 것 같아서였다. 한국에 있을 때 의사가 한 말도 있고 해서 한국에서 재수술을 받을 수 있으면 좋겠다.

* 몽골의 의료수준을 신뢰하지 못하는 몽골인들이 많다. 이 사람들은 심을 제거하는 수술과 같은 간단한 수술이라도 한국에서 받기를 희망한다. 만약 이들이 한국인이었다면 재수술 역시 산재보험의 적용을 받아서 무료로 받을 수 있었을 것이다 : 필자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매번 결제가 번거롭다면 CMS 정기후원하기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kb국민은행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프레시안에 제보하기제보하기
프레시안에 CMS 정기후원하기정기후원하기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