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화면으로
"불량품 재활용 공장, 잃어버린 손가락"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밴드 공유하기
  • 인쇄하기
  • 본문 글씨 크게
  • 본문 글씨 작게
정기후원

"불량품 재활용 공장, 잃어버린 손가락"

[몽골 이주노동자, 한국을 말하다·⑥] 생각과 달랐던 한국

지난 6월 4일, 산업안전공단은 2007년부터 3년 동안 산업재해 피해를 입은 이주노동자가 2007년 3967명, 2008년 5221명, 2009년 5231명이라고 발표했다. 그 중 사망자는 2007년 87명, 2008년 117명, 2009년 101명이었다.

물론 이 숫자가 다는 아니다. 아는 사람은 다 아는 사실인데, 이주노동자들은 비자가 없거나 있더라도 모르거나 계속채용 혹은 재계약 약속 때문에 산재 피해를 입어도 산재로 처리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그 숫자가 얼마나 되는지는 사실 아무도 모른다. 한국 상황에 서툴고 열악한 환경에서 일하는 이주노동자들이 산업안전에 유독 취약하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더욱이 이들은 '이 땅에서 떠나갈 사람들'이다. 떠나갈 사람들이기에 우리는 그들을 쉽게 잊게 된다. 떠나간 사람들이기에 치료가 부족하거나 법적으로 보장된 여러 혜택을 받지 못해도 우리는 알지 못한다. 치료해주고(!) 법적으로 규정된 모든 혜택을 받고 돌아가면 우리가 할 일은 다했다고 여기는 것이 일반적인 생각이다.

그런데 정말 그렇게 여기고 말아도 되는 것일까? 이런 의문을 가지고 산재피해 후 귀환한 그들의 삶을 잠깐 살펴보고자 공익변호사그룹 공감과 외노협, 외국인이주노동자인권을위한모임에서 작은 조사를 기획했다.

이렇게 해서 지난 6월, 노동인권회관 박석운 소장, 외국인이주노동자인권을위한모임 소장인 필자, 외노협의 이경숙 간사 이렇게 세 사람이 몽골로 갔다. 그곳에서 23명의 산재피해자들을 만났다. 모두 2000년 이후 한국에서 취업하다가 산재피해를 입었던 사람들이다.

한국에서도 늘 하는 상담이었지만, 그들의 땅에서 그들을 만나보니, 그 감도가 달랐다. 그들은 거의 다 잔잔하게 자신의 사례를 설명해주었다. 나직한 목소리로 잔잔한 표정으로, 그 잔잔함이 듣는 한국인들에게 민망함과 미안함을 더해주었다.

그렇게 들었던 그들의 사연을 그들의 목소리로 공개한다. 이미 지나간 일들을 들춰 괜히 미안함을 더하기 위함이 아니고, 누군가를 비난하거나 비판하기 위함도 아니다. 다만, 지금도 또 앞으로도 생겨날 또 다른 그들이 안전하게 귀환할 수 있게 뭔가 변화가 있기를 바라는 마음에서다.

사실관계에서는 그들이 이해했던 그대로 서술했다. 확인을 거치지 않았기 때문에 잘못 이해한 점이 있을 수도 있다. 그러나 이 역시, 그들이 그렇게밖에 이해할 수 없었던 상황이었다고 이해하면 무리가 없을 것이다. 그리고 오래전의 일이라거나 제도가 바뀌었다는 등의 이유로 애써 위안을 받으려고 노력할 필요도 없다. 고용허가제 노동자, 산업연수생, 미등록체류자, 10대 소년, 형제 산재피해자 등 고루고루 사례를 취합하였으니 말이다.

인터뷰를 마치고 나서 오랫동안 기억에 남은 말이 있다. 어떤 피해자가 한 말이기도 하고, 한국으로 몽골인을 송출하는 업무를 맡은 몽골인이 한 말이기도 하다.

"한국에 갈 때, 몽골인들은 모두 건강검진을 받고 간다. 우리는 건강한 젊은이들을 보내준다. 그러니 돌려보낼 때도 건강하게 돌려보내줘야 하는 것 아니냐!"

다음은 산재로 손가락이 잘린 몽골 노동자가 자신의 사연을 구술한 것이다. <필자 주>

나는 2005년에 한국에 고용허가제로 취업하였다. 한국에 입국하기 전, 한국에 입국한 직후 필요한 교육을 받았다. 교육은 한국생활에 어느 정도 도움이 된다. 공장일에 대한 파악을 조금은 할 수 있게 한다. 그렇지만 충분하지는 않았다고 생각한다. 몽골에서 생각한 내용과 한국에서 직접 본 내용은 달랐다.

부실한 안전교육, 손가락이 잘리다

내가 첫 번째로 취업한 공장은 '천공장'이었다. 계약서에 '00섬유'라고 되어 있어서 나는 천을 짜는 일을 하는 줄 알았다. 그런데 한국에 가보니 완성된 천을 넓히는 일이었다. 몽골에는 천을 넓히는 공정이 없는 것으로 알고 있기 때문에 나는 몽골의 경우와 같이 생각하고 내 나름대로 그렇게 상상을 했었다. 입국전 교육과정에서 안전교육을 특히 자세하고 생생하게 해주면 좋겠다고 생각했다. 공장에 대한 자세한 내용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교육방법도 영상 등을 통해서 해주면 도움이 될 것 같다.

두번째 회사는 한국 고용지원센터에서 소개받았다. 그래서 어느 정도 일의 성격은 알고 있었으나 여전히 위험성은 잘 몰랐다. 그저 천공장은 일이 힘들었는데 이 공장은 덜 힘들 것으로 생각했다. 그렇지만 나는 이 회사에서 왼손 다섯째 손가락 첫째마디를 잃어버렸다.

이 회사는 안양에 있는 플라스틱공장이었다. 휴대폰 밧데리의 바깥부분을 만드는 회사였다. 이 회사는 예전에는 종업원 300여명 정도가 일하는 큰 공장이었다는데, 내가 일할 때는 약 30여명 정도로 축소되었다. 그 중에서 외국인은 몽골인 1명, 중국인이 몇 명 있었다. 나보다 아내가 고용허가제로 그 회사에 취업해서 3년간 일을 했었다. 그래서 나도 그 회사에서 아내와 같이 일하고 싶어서 고용지원센터의 구인회사목록에서 그 회사가 나올 때까지 기다렸다가 그 회사를 선택해서 일을 했다.

내가 하는 일은 플라스틱 재료를 재료통에 넣는 일이다. 고기 가는 기계같이 생긴 기계인데, 그 속에 재료를 넣는다. 기계의 크기가 크지 않아서 이동하면서 사용하였는데, 이 기계에 자동정지 스위치는 없는 걸로 알고 있다. 스위치는 기계위에 있어서 내가 스스로 끄고 켰다.

이 회사에서 일할 때 요통도 생겼었다. 무거운 원재료를 많이 들어올려서 그렇다. 작업공정은 다음과 같다.

재료를 25킬로그램 정도를 통에 넣고, 거기에 10킬로그램짜리를 다시 넣는다. 1통에 25킬로그램짜리 3-4개를 투입한다.=> 이 물량을 3시간 동안 데운다. 3시간당 3-4개 기계를 채우므로 최소 15개-최대 20개 정도 재료를 들어넣는다. => 뜨거운 재료를 10킬로그램들이 통에 넣어서 모양을 만든다.

이 공장에서는 낮에 할 일을 야간작업중에 준비하는데, 야간작업을 할 때에는 20대의 기계에 혼자서 재료를 투입했다. 재료 없이 기계가 작동되지 않도록 쉴새없이 오르내리고 재료를 나르고 집어넣곤 했다. 재료는 색깔대로 투입한다.

사고는 2007년 3월 30일 야간작업중에, 밤참 먹기 직전인 12시에 발생했다. 2007년 들어서부터는 공장에 일이 많아서 계속 밤에 야간작업을 했다. 그날 재료를 기계에 넣을 때 너무 깊이 넣었다. 또 스위치를 끄고 재료를 넣어야 하는데 작동이 되고 있는 상태에서 넣었다. 기계에 오른손 다섯째 손가락 첫째마디가 잘렸다.

아직 한국에 남아 있는 아내

그 기계는 다른 사람은 사용하지 않는 기계였다. 불량품을 부수는 기계였는데 그 공장에 3대가 있었다. 내가 그 공장에서 일을 하기 시작했을 때, 불량제품이 나오면 차로 실어서 외부로 내보냈었다. 그런데 회사가 어려워지면서 불량품을 외부로 보내지 않고 불량품을 부수어서 다시 제조하였다. 이 기계 안에 불량품을 투입해서 부수는데, 불량품은 여러 색깔이었다. 그래서 한 색깔의 불량품을 넣고 부수는 공정이 끝나면 다른 색깔의 불량품을 넣는데, 그때 색깔이 섞이지 않도록 청소를 한다. 그 기계도 스위치를 껐다켰다 하면서 작동해야 하는데, 나는 평소에도 늘 기계를 작동시킨 채로 재료를 투입했다. 껐다켰다 하는 것보다 훨씬 작업속도가 빠르기 때문이다. 물론 코드 꽂은 상태에서 오작동 가능성은 있었다. 그렇지만 그것이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는 생각은 못했다.

사고가 나자 처음부터 산재보험을 적용했다. 사모님이 초기부터 도와주었고 휴업급여 청구할 즈음부터 NGO의 도움을 받았다.

병원에 3월 30일에 입원해서 5월 7일에 퇴원했고 9월에 몽골로 귀국했다. 치료받는 기간 중 가장 힘들었던 점은 사고부위를 소독할 때였다. 소독할 때 마취없이 칫솔로 하는데, 그때 정말 많이 아팠다. 퇴원한 후 집근처 병원에서 물리치료 3개월간 받았다. 손가락에 심을 박아두었는데 그래서 물리치료기간이 오래 걸린 것 같다고 생각한다. 보상금은 200만 원 정도 받았는데 귀국한 후에 다 썼다.

당시 한국의 고용허가제는 3년간 일을 하고 나면 사업주와 재계약을 맺고 일단 귀국한 후 재입국하는 시스템이었다. 나도 사장님과 재계약을 맺고 사장님이 몽골로 재계약서를 보내준다고 해서 일단 귀국했었는데 이후 보내주지 않았다. 몽골로 돌아온 후에는 택시운전을 한다. 아내는 지금도 한국에서 일하고 있는데 승용차부품을 제작하는 회사로 알고 있다.

▲ 지난 2004년 추석 당시 안산 원곡본동에서 열린 국경없는마을 콩꽃축제의 한 부스에서 방글라데시 노동자들이 자신들의 고유 음식을 선보이고 있다. 남들 쉴 때 같이 쉬고 싶은 마음은 이주노동자도 다를 게 없다. (사진은 본문 내용과 직접적인 관계가 없습니다.) ⓒ안산외국인노동자센터

나는 몽골에서는 씨름선수였었다. 한국에 갈 때 씨름선수는 포기했었는데, 몸이 아팠던 것은 아니었다. 특히 요통은 없었는데, 이 회사에서 일을 하면서 요통이 생겼다. 처음에는 쉬다가 갑자기 움직이면 아팠었다. 그것이 반복되면서 계속 아파졌다. 병원에는 가보지 않고 허리 아픈 데 좋다는 호랑이 연고를 발랐다. 처음에는 연고를 바르면 괜찮았는데 나중에는 호랑이연고를 발라도 아픈 것이 낫지 않았다. 그렇지만 그래도 통증이 좀 낫기 때문에 지금도 호랑이연고를 아픈 부위에 바른다. 몽골와서도 병원에 가보지는 않았다.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매번 결제가 번거롭다면 CMS 정기후원하기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kb국민은행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프레시안에 제보하기제보하기
프레시안에 CMS 정기후원하기정기후원하기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