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우석 씨의 논문 조작을 계기로 잠정 중단돼 있는 체세포 복제 배아 연구를 허용할 것인지를 놓고 첨예한 사회적 논란이 예고되고 있다. 보건복지부의 조사 결과 과학·윤리계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찬·반 양론이 팽팽히 맞섰다.
과학계는 '허용'-윤리계는 '신중'
복지부는 20일 지난 5월과 6월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 생물학연구정보센터, 한국생명윤리학회, 한국의료윤리교육학회 등 과학계·의료계 전문가 487명을 대상으로 한 체세포 복제 배아 연구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 조사는 국가생명윤리심의위원회가 지난 2월 2일 체세포 복제 배아 연구에 대한 재평가를 요청한 데서 비롯됐다.
생명과학자 436명이 응답한 과학계를 대상으로 한 조사 결과는 체세포 복제 배아 연구를 허용해야 한다는 의견이 81%(352명)로 압도적으로 높았다. 전체 응답자의 56%(242명)는 "기초연구 단계에서의 적정한 규모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답했고, 25%(110명)는 "적극적으로 지원 육성해야 한다"고 답했다.
반면 51명이 응답한 윤리계의 조사 결과는 좀 더 신중한 쪽이었다. 윤리계 응답자의 55%(28명)는 체세포 복제 배아 연구에 대해 부정적인 의견을 보였다. 응답자의 49%(25명)는 "허용하지 말아야 한다"고 답했고, 6%(3명)는 "허용은 하더라도 정부의 예산 지원은 없어야 한다"고 답했다. 그러나 윤리계 역시 "허용해야 한다"는 의견도 43%(22명)나 돼 윤리계 안에서도 이 연구에 대한 입장 차이가 큼을 보여줬다.
난자 획득, 인간 복제, 배아 파괴 등 우려 돼
과학계와 윤리계 모두 체세포 복제 배아 연구가 여러 가지 윤리 문제를 안고 있음은 인정했다. 특히 난자 획득 과정, 인간 복제, 배아 파괴 등에 대한 우려가 높았다.
과학계 응답자의 58%(254명)는 난자 획득 과정에서 난자 매매 가능성을 우려했다. 인간 복제(25%, 107명), 배아 파괴(13%, 56명)가 그 뒤를 이었다. 윤리계 응답자는 인간 복제(35%, 18명), 배아 파괴(31%, 16명), 난자 획득 과정(27%, 14명) 등의 우려를 제기했다.
그러나 과학계, 윤리계 응답자의 과반수는 난자 획득 과정의 여러 가지 우려에도 불구하고 연구용으로 난자를 사용할 수 있다는 데에는 의견을 같이 했다. 과학계 응답자의 88%(382명), 윤리계 응답자의 71%(36명)는 연구용 난자 기증을 찬성했다. 또 과학계, 윤리계 응답자의 과반수는 이렇게 연구용 난자 기증이 허용되면 부족하나마 연구를 수행할 수 있을 정도의 난자는 공급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황우석 씨가 했던 동물 난자에 인간의 핵을 이식하는 연구, 이른바 이종 간 이식에 대해서도 우려의 목소리가 높았다. 과학계의 33%(144명)와 윤리계의 63%(32명)는 "이종 간 이식 행위의 윤리, 안전 문제가 인간 난자를 사용하는 연구보다 더 심각하므로 허용돼서는 안 된다"고 답했다.
경제적 전망 엇갈려…실용화되더라도 10년 이상 뒤에나
과학계와 윤리계는 체세포 복제 배아 줄기세포 연구의 경제적 타당성에 대해서는 전망이 극명하게 엇갈렸다. 과학계는 전반적으로 경제적 타당성이 있다고 보는 반면 윤리계는 부정적이었다.
과학계 응답자의 64%(280명)는 이 연구의 "경제적 타당성이 있다"고 답한 반면 윤리계 응답자의 49%(25명)는 "타당성이 없다"고 답했다. "타당성이 없다"고 답한 응답자의 대다수는 줄기세포 치료의 실용화 가능성이나 특허 등에 의한 이익의 가능성이 희박하다고 전망했다.
한편 이렇게 과학계와 윤리계의 경제적 타당성에 대한 전망이 상당히 다른 가운데 설사 줄기세포 치료의 실용화는 상당한 시간 뒤에나 가능할 것으로 전망됐다. 과학계의 75%(327명)는 10년 이상이 걸릴 것이라고 답했다.
또 국내의 체세포 복제 배아 줄기세포 연구의 수준에 대해서도 과학계와 윤리계 모두 부정적인 의견이 많아 주목된다. 과학계의 50%(219명), 윤리계의 73%(37명)는 국내의 연구 수준이 알려진 것보다 낮기 때문에 독자적으로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는 데에는 한계가 있는 것으로 봤다.
과학계 과반수 "동물 연구부터 허용하도록 하자"
한편 과학계에서 체세포 복제 배아 줄기세포 연구가 성숙하기 전에 동물을 대상으로 한 연구를 먼저 하는 방안에 긍정적인 의견이 많아 주목된다. 그 동안 일부 전문가들은 먼저 동물을 대상으로 한 연구를 해 성과가 나타난 다음에 인간의 난자와 핵을 이용한 연구를 허용해야 한다고 주장해 왔다.
과학계 응답자의 43%(188명)는 "동물 연구가 충분히 성숙하기 전까지 인간 체세포 복제 배아 줄기세포 연구를 허용해서는 안 된다"고 답했다. 또 10%(45명)는 "설사 허용하더라도 정부에 의한 연구비 지원은 안 된다"고 답했다. 윤리계 응답자 중에서 이 연구를 찬성하는 이들의 대다수도 이런 의견에 공감을 나타냈다.
한편 20일 오후 이화여대에서는 복지부 주최로 체세포 복제 배아 연구 재평가를 둘러싼 찬·반 전문가의 토론회가 예정돼 있어 주목된다. 복지부는 이번 설문조사 결과 등을 수렴해 8월 중 국가생명윤리심의위원회에 검토 결과를 보고할 예정이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