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화면으로
"검찰 수사는 '기괴'…'바보 황우석'을 원하는가?"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밴드 공유하기
  • 인쇄하기
  • 본문 글씨 크게
  • 본문 글씨 작게
정기후원

"검찰 수사는 '기괴'…'바보 황우석'을 원하는가?"

[인터뷰] '황우석 폭력'과 싸워 온 이형기 교수

황우석 교수의 논문 조작을 둘러싼 논란이 계속되는 동안 〈프레시안〉에 수 차례의 기고를 통해 사태에 대한 이해를 도왔던 이형기 피츠버그대학 교수가 한국을 찾았다. 이형기 교수는 21일 〈프레시안〉과의 인터뷰에서 이른바 '황우석 사태'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담담히 털어놓았다.

***"검찰 수사 '기괴한 현상', 언제는 과학계에서 알아서 하라더니…"**

이형기 교수는 우선 검찰이 현재 황우석 교수의 논문 조작 사건에 대해 수사를 진행하고 있는 것을 '기괴한 현상'이라고 평했다.

이 교수는 "처음 〈PD수첩〉, 〈프레시안〉 등에 의해 황우석 교수의 논문 조작 문제가 불거졌을 때 황 교수를 지지하는 사람들을 포함해 많은 이들은 '과학의 문제는 과학계에서 해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며 "이제 서울대 조사위원회의 활동을 통해 황 교수의 논문 조작 사실이 확실히 드러났음에도 불구하고 논문을 조작한 당사자의 요청으로 검찰이 수사를 벌이고 있는 것은 분명 '기괴한 현상'"이라고 지적했다.

이 교수는 "황우석 교수가 세계를 상대로 논문 조작과 같은, 있어서는 안 될 일을 감행한 것만으로도 그는 더 이상 과학계에서 발 붙일 데가 없다"며 "논문 조작에 구체적으로 관여한 사람이 강성근 교수인지, 김선종, 권대기 연구원인지는 바로 황 교수 자신이 투명하게 밝혀야 할 일"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모든 남겨진 의혹은 결자해지(結者解之) 차원에서 황 교수 자신이 풀고 사죄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연구 대상에 대한 윤리'와 '연구자의 윤리'는 구별되지 않아"**

이형기 교수는 특별히 '연구 대상에 대한 윤리'와 '연구자의 윤리'이 사실상은 같은 것임을 강조했다.

이 교수는 "황우석 교수를 둘러싼 일련의 사태가 우리에게 주는 교훈은 '연구자의 윤리'가 결코 '연구 대상에 대한 윤리'와 구별될 수 없다는 점"이라며 "생명윤리와 같은 기본적인 윤리를 무시한 연구는 절대로 성공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이 교수는 "황우석 교수의 경우에도 난자 채취 과정에서 있었던 여러 가지 문제점('연구 대상에 대한 윤리')과 논문 조작('연구자의 윤리')은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에 있다"며 "처음 황 교수 논문에 대한 문제제기는 난자를 어떻게 또 얼마나 확보했는지에 대한 것이었고 결국 이마저도 다 조작한 것이 드러났다"고 설명했다.

이 교수는 또 "이렇게 황우석 교수가 처음부터 윤리 문제에 둔감하다보니 정작 연구의 진실성을 담보할 가장 기본이 되는 실험 노트도 제대로 작성하지 않았던 것"이라며 "이렇게 기본이 안 된 황 교수에게 또 다시 기회를 줘야 한다는 주장은 과학계에 있는 사람으로서 받아들일 수 없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황우석 기술' 실체 없어…진짜 '바보 황우석' 만들고 싶나"**

이형기 교수는 줄기세포 연구에 대한 황교수 지지자들의 과도한 환상에 대해서도 안타까움을 표시했다.

이 교수는 "지금까지 드러난 정황으로는 줄기세포 연구에 관한 한 황우석 교수가 과연 '원천기술'이라고 할 만한 기술력을 가지고 있었는지 회의적"이라며 "기술이라고 할 만한 게 존재하지 않는데 왜 황 교수에 대한 기대를 저버리지 못 하는지 안타깝다"고 지적했다. 이 교수는 "앞에서 언급한 대로 과학을 하기 위한 '기본'이 안 돼 있는 황 교수에게 또 다시 기회를 줘야 할 정도로 우리 과학계가 척박하지 않다"며 "황 교수 외에도 훌륭한 연구자들이 많이 있다는 것을 황 교수 지지자들은 알아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 교수는 또 "황우석 교수의 지지자들은 황 교수가 '바보'였기를 바라는 것 같다"며 "안타깝게도 만약 황 교수가 2, 3번 줄기세포가 실제로 존재했다고 정말로 믿었다면 그것이야말로 황 교수가 더욱더 우습게 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이것이 사실이라면 황 교수가 연구를 책임질 수 있는 능력이 결여돼 있었던 것으로 사실상 연구 책임자로서 자격이 없음을 스스로 증명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또 "이미 황 교수가 2005년 논문의 경우 대부분을 조작했음은 명백히 드러났다는 것을 잊어서는 안 된다"고 덧붙였다.

***"검찰 수사 결과 따라 섀튼 징계 달라질 수 있어"**

이형기 교수는 피츠버그대의 제럴드 섀튼 교수의 징계에 대해서도 "'맥락'을 잘 알 필요가 있다"고 보충 설명했다.

이 교수는 "피츠버그대가 섀튼 교수에게 면죄부를 준 것이 아니라 일단 밝혀진 정황만으로는 미국에서 문제 삼는 연구 부정의 세 가지 조건, 즉 '날조(fabrication)', '위조(falsification)', '도용(plagiarism)'에 해당되는 죄를 찾지 못 했기 때문에 그 수준에서 결론을 내린 것일 뿐"이라며 "만약 검찰 수사 결과 등에서 섀튼 교수의 여죄가 더 밝혀진다면 피츠버그대도 섀튼 교수에 대해서 그에 상응하는 조처를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교수는 "더구나 피츠버그대 조사위원회도 명확히 섀튼 교수의 '부적절한 처신'에 대해서는 문제점을 명확히 지적했다"며 "이에 대해서는 징계를 내리는 권한을 가진 레빈 학장이 적절한 조처를 취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지금 필요한 것은 섀튼 교수에 대해서 이러쿵저러쿵 하는 게 아니라 여죄를 입증할 좀 더 명확한 증거를 피츠버그대에 제시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시스템 마련하는 게 중요…과학계 '규제' 받아들여라"**

이형기 교수는 "지금 중요한 것은 황우석 교수가 보인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다시는 반복되지 않도록 시스템을 마련하는 일"이라고 강조했다.

이 교수는 "개인의 자발적 헌신에 기대는 유교적 전통보다는 적절한 법·제도를 확립해 시스템을 마련하는 것이 꼭 필요한 일"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크게 교육적, 예방적, 징계적 차원에서 시스템이 마련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윤리, 생명윤리에 대한 교육 강화(교육적 차원), 내부고발자 보호 제도 마련·연구정직성위원회(ORI) 설치(예방적 차원), 일벌백계(징계적 차원) 등의 시스템이 뒷받침돼야 한다는 것.

이 교수는 "특히 엄격한 규제 없이는 시스템을 마련하더라도 효과를 볼 수 없다"며 "과학계도 황우석 교수 일을 통해 이런 법·제도 도입의 필요성을 절실히 인식하고 있는 만큼 다소 불편하더라도 엄격한 규제를 정부에 스스로 요청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서울대가 주도적으로 ORI를 설치하고, 황 교수 등에게 강한 징계를 내리기로 방침을 정한 것은 아주 긍정적인 일"이라고 덧붙였다.

이 교수는 더 나아가 연구에 대한 '성과주의'를 압박하는 현재의 대학 문화에 대해서도 일침을 놓았다. 그는 "대학은 교육, 연구, 사회에 대한 기여 등 3가지 요소가 함께 가야 할 공간"이라며 "그러나 한국 대학들이 경쟁력을 확보한다며 연구 성과만을 강조하다보니 현장 연구자들이 연구 부정에 대한 유혹을 강하게 느끼는 추세가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대학의 역할에 대한 사회적 토론 역시 필요한 시점"이라고 덧붙였다.

***"3개월 힘든 시간 보냈다…'양심의 소리'에 귀기울이며 나아갔다**

이형기 교수는 지난해 11월부터 지금까지 모두가 침묵할 때 과학계의 전문가로서는 거의 유일하게 일련의 사태에 대해 목소리를 내 왔다. 이 교수는 "무척 힘든 3개월간이었다"고 고백했다.

이 교수는 "국내 과학계에 있는 분들은 여러 가지 인연에 엮여 있기 때문에 제 목소리를 못 냈지만 밖에 있었던 나는 비교적 그런 데에서 자유로웠다"면서 "특히 11월 중순 난자 채취 과정의 비윤리적 측면이 제기됐을 때 일부 황 교수를 옹호하는 과학자들이 '한국적 문화' 운운하는 것을 보고 '그냥 있어서는 안 되겠다'는 생각을 하면서 일련의 발언을 결심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그는 "결국 그렇게 시작한 게 황 교수 연구의 심각한 문제점들이 드러나면서 3개월이나 이어졌다"고 덧붙였다.

이 교수는 "지금도 간간히 그런 이메일이 오지만 그 동안 온갖 폭력에 시달렸다"며 "그만 두고 싶을 때도 있었지만 솔직하게 '양심의 목소리에'에 귀 기울이며 담대하게 나아갔다"고 밝혔다. 이 교수는 "과학에 대한 열정에 찬물을 끼얹은 이번 일 때문에 특히 젊은 과학도들이 위축되지 않아야 할 것"이라며 "이번 일을 교훈 삼아 '윤리와 함께 가는 과학기술'을 그들이 만들기를 희망한다"고 당부했다.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매번 결제가 번거롭다면 CMS 정기후원하기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kb국민은행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프레시안에 제보하기제보하기
프레시안에 CMS 정기후원하기정기후원하기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