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F 외환위기 이후 해외매각에 내몰리고 있는 기업의 노조들이 공동투쟁에 나섰다. 그동안 개별 기업 노조 차원에서 해외매각 반대에 나선 경우는 많았지만 여러 기업의 노조들이 연대투쟁에 나서는 움직임은 처음이라는 점에서 그 파장이 주목된다.
***노조연대 "우리사주 통한 지분 인수"**
대우건설, 현대건설, 대우조선해양 등 매각을 앞둔 5개사 이상의 노조들이 '당사자 인수 참여를 위한 매각공동대책위원회'를 구성하기로 의견을 모은 것으로 19일 알려졌다. 이들 노조는 오는 27일 공동 기자회견을 열어 매각공동대책위원회의 공식 출범을 알리고 향후 활동계획을 발표할 예정이다.
이들 노조는 매각공동대책위원회를 통해 기업 매각시 노조원들이 일정 지분을 확보하는 방안을 정부와 채권단에 요구할 방침이다. 이번 노조연대는 단순한 해외매각 반대 투쟁이 아니라 우리사주 조합을 통한 지분 인수라는 적극적인 목표를 내세우고 있어 그 성사 여부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대우건설 노조를 중심으로 결성된 '매각공동대책위원회'의 위원장을 맡은 정창두 대우건설 노조 위원장은 19일 <프레시안>과의 인터뷰에서 "공적자금 회수 극대화에만 초점을 맞춘 정부의 매각방침에 노사 간 상생이 가능한 매각으로의 전환을 요구하기 위해 같은 입장의 노조들이 연대하게 됐다"고 밝혔다.
대책위는 내년 상반기 매각 완료를 일정으로 11월 중 매각을 위한 실사작업이 마무리되는 대우건설을 '노조연대'의 첫 시험대로 삼아 총력을 기울인다는 방침을 세워두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27일 공동 기자회견을 갖고 대책위의 공식 입장과 전략을 발표할 예정이다.
대책위에는 대우건설을 비롯해 현대건설, 대우조선해양, LG카드, 하이닉스반도체 노조의 참여가 확정돼 있고,
외환은행과 외환카드, 대한통운, 쌍용건설. 브릿지증권 등의 노조들이 참여할 것으로 알려졌다.
대우건설의 경우 비등기 임원, 사무직 노조로 구성된 우리사주조합은 11월 매각실사 후 인수전에 참여하기로 방침을 정하고, 향후 예비입찰 대상자로 선정될 업체 중 한 곳과 컨소시엄을 구성하기로 했다.
대우건설 노조 및 우리사주조합은 지분인수 자금을 퇴직금 1400억 원, 차입형 우리사주제(ESOP)를 통한 금융권 차입 1200억 원 등 총 2600억 원으로 추정하고 있다.
***채권단 "노조 지분인수전 참여는 매각일정만 지연시킬 것"**
그러나 한국자산관리공사(KAMCO) 등 대우건설 출자전환 주식 공동매각협의회는 지분 82% 가운데 최소 '50%+1주'를 매각한다는 방침 하에 현재 매각주간사인 삼성증권과 시티 컨소시엄이 실사를 진행 중이이서 대우건설 우리사주조합의 지분참여가 성사될지는 미지수다.
시가총액 3조6000억 원에 달하는 대우건설의 매각가는 경영권 프리미엄까지 포함해 일괄 매각할 경우 2조2000억~2조6000억 원에 이를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현재 대우건설의 최대주주는 캠코로 45.33%를 보유하고 있으며 대우캐피털(8.39%), 우리은행(5.61%), 외환은행(4.36%), 현대카드(3.01%), 서울보증보험(2.63%), 조흥은행(2.63%), 정리금융공사(2.11%) 등이 주주로 구성돼 있다. 우리사주조합 주식은 3.35% 선이다.
대우건설 관계자는 "경영권 참여를 요구하지 않되 매각지분의 20%을 우리사주 조합이 인수하는 것이 목표"라면서 "목표대로 된다면 우리사주조합 지분은 15% 가까이 돼 경영권 참여는 하지 않더라도 수조 원에 달하는 대우건설 자산의 무분별한 빼돌리기 등을 제지할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캠코 등 채권단은 공적자금 회수를 최대화한다는 공적자금특별법에 따라 경영권 프리미엄을 얹어 일괄 매각하는 방안을 추진해왔기 때문에 대우건설 노조 등 '매각 공동대책위'의 지분인수 요구에 난색을 표하고 있다.
채권단은 우리사주조합이 인수전에 참여할 경우 제값을 받을 수 없고, 설령 인수자로 결정된다고 해도 공적자금회수 위원회에서 심의의결이 사실상 어렵기 때문에 매각일정만 지연될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