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화면으로
1920년대 항일 노동자 투쟁 연극 ‘동문선’ 국가기록물 13호 지정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밴드 공유하기
  • 인쇄하기
  • 본문 글씨 크게
  • 본문 글씨 작게
정기후원

1920년대 항일 노동자 투쟁 연극 ‘동문선’ 국가기록물 13호 지정

블라디보스토크 고려극장 창립 멤버 김해운작가 희곡…1952년 ‘사할린 조선극장’ 공연

국가기록원(원장 이소연)은 고려인마을(대표 신조야)이 소장한 유물 2만여점 중 고려인 유명작가나 문화예술인들이 남긴 소설, 희곡, 가요필사본 등 육필원고 21권과 고려극장 80여년의 역사가 고스란히 담긴 사진첩 2권 등 총 23권을 국가 기록물로 등재했다.

고려인마을기록물은 등재순서에 따라 유진오의 제헌헌법 초고(제1호), 이승만 대통령 기록물(제3호), 조선말 큰사전 편찬 원고(제4호), 도산 안창호 관련 미주 국민회 기록물(제5호), 3·1운동 관련 독립선언서류(제12호) 등에 이어 제13호 국가지정기록물로 지정됐다.

희곡 <동북선>은 일제의 한반도 수탈과 학정을 고발한 전형적인 반일, 항일의식을 주제로 한 작품이다.

▲1920년대 항일 노동자 투쟁을 담은 연극 <동문선> 희곡집 표지 ⓒ고려인 마을

한반도를 강탈한 일제는 1920년대에 만주와 시베리아 침략의 발판을 마련하고자 청진에서 웅기까지 철도를 부설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조선노동자들이 대거 동원돼 가혹하게 혹사당했다.

<동북선>은 이렇게 동원된 조선 노동자들이 일제의 수탈과 학정에 맞서 격렬하게 저항하는 과정을 그리고 있다. 이 연극은 관객들에게 커다란 반향을 불러일으켜 그 뒤로도 여러 차례 무대에 올랐고 강제이주 이후는 물론, 나중에 '사할린 조선극장'에서까지 수차례 공연된 바 있다.


중앙아시아 강제이주 이후에는 <동북선>이 무대에 오르는데 많은 어려움이 따랐다. 고려인 전체가 적성 민족으로 낙인찍혀 강제이주 된 만큼 고려인 무대예술에도 많은 제약이 뒤따랐기 때문이다.

특히 <동북선>처럼 정치사회적 현상을 다룬 작품은 무대에 올리기가 더욱 조심스러워져 검열기관의 철저한 검열을 받고서야 다시 무대에 오를 수 있었다.

▲1952년 '사할린 조선극장' 무대에 오른 연극 <동문선> 희곡 개정본 ⓒ고려인 마을

<동북선>은 몇 차례 공연을 거친 뒤에는 내용도 상당한 수정됐다.

1939년 9월 말 ‘타쉬켄트 조선극장’에서 1935년본 원본 <동북선>이 원고검열을 마치고 다시 무대에 올랐으며, 그 후 수정이 가해진 개정된 <동북선>은 1945년 8월 한반도가 해방을 맞이한 이후에 완성돼 관객들과 만났다. 개정된 <동북선>은 1952년 봄 ‘사할린 조선극장’에서도 공연됐다.

김해운(1909-1981)은 극작가이자 배우이자 연출가로 1932년에 한민족 최초의 우리말 전문연극극장인 블라디보스토크 고려극장 창립 멤버로 참여했다. 1939년에는 타쉬켄트 조선극장 설립을 주도했으며, 1950년에는 사할린으로 건너가 사할린 조선극장을 크게 중흥시킨 이로, 고려극장 역사상 가장 탁월했던 인물 중 한 명이다.

그가 쓴 희곡 8편이 국가지정기록물 제13호로 등재됐다.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매번 결제가 번거롭다면 CMS 정기후원하기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kb국민은행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프레시안에 제보하기제보하기
프레시안에 CMS 정기후원하기정기후원하기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