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화면으로
애국가, 언제 어떻게 생겨났나?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밴드 공유하기
  • 인쇄하기
  • 본문 글씨 크게
  • 본문 글씨 작게
정기후원

애국가, 언제 어떻게 생겨났나?

[애국가에 무슨 일이 일어났나] ②

애국가 작곡자 안익태는 친일파이자 친나치주의자였다. 게다가 그의 애국가는 불가리아 민요를 표절한 것이라는 주장이 이미 오래전부터 제기돼 왔다. 문화운동가이자 창작판소리 명창인 임진택 씨는 "안익태 애국가는 우리 민족의 수치"라면서 이제부터라도 제대로 된 애국가를 만들기 위한 논의를 시작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지난해부터 안익태 곡조 대신 '아리랑'에 애국가 가사를 얹어 부르는 '아리랑 애국가' 운동을 펼치고 있는 그는 '아리랑 애국가'는 임시방편이며 장기적으로는 국민들의 뜻과 지혜를 모아 한국을 진정으로 대표할 수 있는 애국가를 만들어야 한다고 역설한다.(관련 기사 : "친일파 애국가 대신 '아리랑 애국가' 불러야 할 때")

임진택 씨의 '애국가에 무슨 일이 일어났나' 연재를 통해 현재 우리가 부르고 있는 안익태 애국가에는 어떤 문제가 있는지, 제대로 된 애국가를 만들기 위해서는 무엇이 필요한지 함께 고민해 본다. 다음은 연재 순서.(편집자)

1. 두 개의 감춰진 진실과 한 개의 뒤집힌 사실

2. 애국가, 언제 어떻게 생겨났나?

3. 안익태의 두 얼굴 - 애국가 작곡 : 친일·친나치 행각

4. 김구도 몰랐고 이승만도 속은 안익태의 거짓말

5. 안익태 애국가 곡조의 불가리아 민요 표절설

6. 애국가 작사자 논쟁 – 안창호인가 윤치호인가?

7. ‘애국가 작사자 조사위원회(1955)’ 활동의 전말(顚末)

8. 윤치호 애국가 작사설 물적(物的)증거에 대한 검토

9. 안창호 애국가 작사설 전문(傳聞)증거에 대한 검토

10. 도산 안창호의 애국창가운동과 애국가 시상(詩想)

11. 만신창이가 된 우리의 애국가, 이제 어찌할 것인가?

12. ‘아리랑 애국가’로 민족정기 되살리자


1. '애국가類'의 최초 형성 과정

지난주 이 글의 연재를 시작하며 “나는 그동안 애국가에 대해 몰라도 너무 몰랐다”는 고백을 한 바 있는데, 그 중에서도 가장 기초적인 것이 바로 애국가가 언제 어떻게 생겨났는가 하는 문제이다. 이에 관해서는 음악학자 고(故) 노동은 교수, 독립운동사 연구가 이명화 박사, 단국대 김수현 교수 등 여러 전문가들의 선행 연구가 있는 바, 이 글에서는 특정 자료를 인용하기보다(이 글이 무슨 논문을 쓰려는 것이 아니므로) 내 나름대로 그 연구 결과들을 취합하여 개괄적으로 정리해보고자 한다.

'애국가'라는 명칭이 처음 등장한 것은 1896년 서재필을 필두로 '독립협회'가 결성될 즈음 창간된 <독립신문>이 제안한 '국가(國歌) 제정을 위한 애국가 부르기 운동'으로부터 출발한다. 이때는 아직 조선 왕조였는데, 1897년 대한제국으로 국호가 바뀐 후에도 1899년까지 3년에 걸쳐 지속적으로 다양한 형식과 내용의 애국 가사들이 투고(投稿) · 게재(揭載)된 바, 그 안에는 제목 자체가 '애국가'인 작품만도 10여 편이 넘었다. 따라서 애초에 '애국가'는 특정 작품을 일컫는 고유명사가 아닌 '애국적인 노래'라는 뜻의 애국가 류(類)를 일컫는 보통명사였다.

그런 과정에서 이들 애국가 류와는 다소 결이 다른, 이를테면 국가(國歌)를 표방하는 '준비된' 애국 가사가 등장하는 바, "우리 황상폐하 텬디 일월갓치 만수무강, 산놉고 물고흔 우리 조선뎨국(?) 하나님 도으사 독립부강" 이렇게 진행되는 4절짜리 노래이다. 이 가사는 1896년 9월 개신교가 모화관에서 주최한 대군주 탄신 경축회에 처음 등장하여, 같은 해 11월 독립협회가 앞장서서 사대(事大)의 표상인 영은문(迎恩門)을 헐고 독립문을 세울 때 정초식(定礎式)에서 불린 바, 이 노래 제목이 '조선노래(朝鮮歌)'로 확인되며 후에 영문으로는 'Korea'로 표방되어 남아온다. '조선가'의 곡조는 미국 국가 'America'(영국 국가 'God save the King'과 동일한 곡조, 찬송가 '하나님은 피난처' 곡조)를 빌려 썼다고 하는데 조선 국호가 대한제국으로 변경된 후에는 '조선'을 '대한'으로 바꿔 부르게 되었을 터, 제목은 'Korea' 또는 그냥 국가(國歌)로 칭하게 된다. 이 노래의 작사자는 윤치호로 추정된다.

2. '올드 랭 사인' 곡조 '무궁화歌'의 출현

한편 그 무렵 아펜젤러 언더우드 등 해외로부터 들어온 개신교 선교사들이 학교를 설립하여 선교와 교육에 봉사한 결과, 개신교는 외래종교이지만 학교와 교회를 통해 조선 사람들의 독립 염원을 담아내는 민족 종교로 점차 자리를 잡아가고 있었다. 그러한 분위기에서 특히 배재학당 학원(學員)들이 독립협회 행사나 만민공동회 같은 사회 문화활동에 긴밀한 연관을 맺게 된 바, 그때마다 독립협회와 <독립신문>, 배재학당과 협성회(배재학당의 외곽 후원조직) 등 유관단체 사람들이 상의하여 애국가 · 독립가 · 경축가 같은 가사들을 실제 노래로 만들어 협력하게 되었다. 그러던 중 1897년 8월 '조선 개국 505년 기원절' 행사에 배재학당 학원들이 참가하여 여러 노래를 불렀는데 그 중 '무궁화노래'란 것이 들어있었다.

이에 관하여는 그해 8월 18일 자 <독립신문>에 관련 기사와 함께 그 노랫말이 소개되어 있고, 같은 날 영문판 <독립신문(The Independent)>에 편집인 서재필의 주(註 : editorial notes)가 실려있는 바, 그 내용을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독립신문(The Independent)>
배재학당 학원들이 무궁화노래를 부르난대,
"우리 나라 우리 님군 황텬이 도으샤,
님군과 백셩이 ᄒᆞᆫᄀᆞ지로
만만셰를 길거ᄒᆞ야 태평 독립 ᄒᆞ여보셰" 하니,
외국 부인이 또 악기로 률에 맛쵸아 병창하더라.

The Paichai boys sang a song 'National Flower'
which was composed by the poet laureate of Korea,
Mr. T. H. Yun, for the occasion.
They sang it to the tune of 'Auld Lang Syne'
accompanied by Mrs. M. F. Scranton on the organ.

번역하자면, "배재학당 학생들이 조선의 계관시인 윤치호씨가 작사한(이번 행사를 위해 준비했다고 함) '나라꽃 노래'를 부른 바, 그들은 이 노래를 스크랜턴 부인의 오르간 반주로 '올드 랭 사인' 곡조에 맞춰 불렀다"는 것이다.

위 한글판 <독립신문>과 영문판 서재필의 해설을 종합해보면 '무궁화노래'가 생겨날 때의 정황이 눈에 보이듯 그려진다. 무엇보다 중요한 단서(端緖)는 이 노래를 '올드 랭 사인' 곡조로 불렀다는 사실이다. "무궁화노래를 '올드 랭 사인' 곡조로 불렀다" 이것은 의심할 수 없는 팩트(fact)이다. 허나 여기 의문이 남는다. 하나는 노래 제목이 '무궁화노래'라면서 왜 노랫말에 '무궁화'라는 단어가 나오지 않는가 하는 점이다. 후렴이 없었다는 말인가? 그럴 리는 없는 것이, 그렇다면 제목을 '무궁화노래'라고 칭했을 리 없지 않은가? 다른 의문은 이때의 '무궁화노래'는 몇 절로 되어있었는가 하는 점이다. 4절까지 있었는지, 아니면 1절만으로 되었는지 분명치 않다. 사소한 것 같지만 나는 이 의문을 먼저 푸는 것이 '애국가 작사자 논쟁' 시비(是非)를 가리는 관건(關鍵)이라고 판단하고 있거니와, 어떻든 '무궁화노래'가 처음 등장한 것은 1897년 8월 '조선 개국 505년 기원절' 때의 일이었다.

그런데 1897년 10월 대한제국이 출범한 뒤 2년쯤 지난 1899년 6월 어느 날, 앞서 언급된 배재학당의 방학예식에 '무궁화노래'가 다시 등장한다. 이 같은 사실 역시 그 당시의 <독립신문>에서 확인되는 바, "배재학당 방학예식에서 학생들이 '무궁화노래'를 불렀다“는 기사와 함께 4절까지의 노랫말을 전부 수록해 놓았다.

▲ 자료1. 1899년 6월 29일 자 <독립신문> 기사. 출처 : 대한민국 신문 아카이브(http://nl.go.kr/newspaper)

4절로 완성된 '무궁화歌'의 가사를 옮겨보면 다음과 같다.


1절. 셩자신손 오백년은 우리 황실이요
산고수려 동반도는 우리 본국일셰
(후렴) 무궁화 삼쳔리 화려강산
대한사람 대한으로 길이 보젼하셰
2절. 애국하는 렬심의긔 북악갓치 놉고
츙군하는 일편단심 동해갓치 깁허
(후렴)
3절. 쳔만인 오직 한마음 나라 사랑하야
사롱공샹 귀쳔업시 직분만 다하셰
(후렴)
4절. 우리나라 우리황뎨 황텬이 도으샤
군민동락 만만셰에 태평독립하셰
(후렴)

놀라운 것은 이 '무궁화歌'의 후렴이 현행 <애국가>의 후렴과 똑같다는 사실이다. '무궁화歌'라는 제목 자체가 후렴 노랫말에서 연유한 것일진대, 후렴이 먼저 형성되어 틀이 잡히고 본 가사가 나중에 추가 생성(生成)되는 민요(民謠)적 관점에서 보면 '무궁화 삼천리 화려강산, 대한사람 대한으로 길이 보전하세'라는 후렴을 갖고 있는 현행 <애국가>는 '셩자신손 무궁화歌'와 유형(類型)이 같은, 동일 작품군(群)이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셩자신손 무궁화歌'의 전체 노랫말(본가사와 후렴) 작사자가 누구인지는 현재로서 단정하기 어려우나 적어도 윤치호와 관련 있다는 사실만큼은 부인할 수 없다. 왜냐하면 이 '무궁화歌'의 본가사 4절 "우리나라 우리황뎨 황텬이 도으샤, 군민동락 만만셰에 태평독립하셰"라는 구절은 '조선 개국 505년 기원절' 행사 때 윤치호가 작사했다는 '무궁화노래'의 가사 "우리 나라 우리 님군 황텬이 도으샤, 님군과 백성이 한가지로 만만셰를 길거하야, 태평독립 하여보셰"와 글자 수(數)와 운율만 다를 뿐 사실상 똑같은 내용이기 때문이다.

여기서 우리가 확인할 수 있는 팩트는 윤치호가 1897년에 지었다는 '무궁화노래' 본 가사가 2년 뒤 1899년에는 글자 수와 운율이 압축·정리되어 '셩자신손 무궁화歌'의 본가사 4절로 자리매김 되었다는 사실이다. 이 팩트 역시 '애국가 작사자 논쟁'에서 옳고 그름을 가릴 수 있는 또 하나의 열쇠가 된다.

한편 독립협회는 이 후 대한제국과의 마찰(황국협회와의 충돌)로 해산하게 되고, 대한제국 정부는 <독립신문>이 벌인 '애국가부르기 운동'과는 달리 독일인 작곡가 프란츠 에케르트를 초청하여 "상제는 우리 황제를 도우소서..."로 시작되는 '대한제국 애국가'를 따로 작곡하게 하여 공식 국가(國歌)로 제정한 바, 이것이 1902년의 일이다. 영국 국가 'God save the King'을 번역 · 모방한 듯한 이 노랫말의 작사자는 당시 관련 고위직이었던 민영환으로 추정되거니와, 1절만으로 된 단형(單形)의 이 애국가는 곡조가 까다로워 주로 군(軍) 의장대(儀仗隊)에서나 연주되었을 뿐, 민간에는 관제(官製)적 성격이 덜한 '셩자신손 무궁화歌'가 더 널리 퍼져 있었다.

3. '무궁화歌2' : '동해물과 애국가'의 탄생


그러던 중 1905년 외교권을 빼앗긴 을사늑약이 있은 뒤 1907년경 대한제국의 멸망이 예견되고 민족 내부에 주권재민의 독립 기운이 점차 싹트던 시기, '셩자신손 무궁화歌'와 후렴이 같고 본 가사가 다른('동해물과 백두산이'로 시작되는) 새로운 '무궁화歌'가 출현한 바, 이 '무궁화歌2'가 바로 오늘날 우리가 부르고 있는 <애국가>이다.

현행 <애국가>의 출현을 확인할 수 있는 가장 오래된 문헌이 앞서 언급된 윤치호 역술 찬미가 재판본(1908년)이다. 이 책에는 여타의 찬송가와는 결이 다른 애국적 찬송가 세 편, 즉 'Korea(국가)'와 '성자신손 애국가(무궁화歌1)' 그리고 '동해물과 애국가(무궁화歌2)'가 다 실려있어 문헌으로서의 가치가 매우 높은데, 책의 역술자 윤치호는 무궁화 후렴이 들어있는 두 편의 '무궁화歌'를 Patriotic Hymn(애국찬미가)으로 규정하면서 두 곡 다 '올드 랭 사인' 곡조에 맞춰 부른다고 표기해 놓았다.

▲ 자료2. 찬미가 재판본 10번 Patriotic hymn '무궁화歌1'과 찬미가 재판본 14번 Patriotic hymn '무궁화歌2'. 출처 : <월간조선> 2015년 9월호

찬미가 재판본 14번에 수록된 '애국찬미가(무궁화歌2)'의 가사는 다음과 같다.

1절. 동해물과 백두산이 말으고 달토록
하나님이 보호하사 우리 대한 만세
(후렴) 무궁화 삼천리 화려강산
대한사람 대한으로 길이 보전하세
2절. 남산우헤 저 소나무 철갑을 두른 듯
바람 이슬 불변함은 우리 긔상일세
(후렴)
3절. 가을 하늘 공활한대 구름 업시 놉고
밝은 달은 우리 가슴 일편단심일세
(후렴)
4절. 이 긔상과 이 마음으로 님군을 섬기며
괴로오나 질거우나 나라 사랑하세
(후렴)

이 '무궁화歌2"의 노랫말은 현행 <애국가>와 비교할 때 다음 몇 가지를 제외하고는 맞춤법만 다를 뿐 거의 똑같다.

하나님이 보호(保護)하사 ⇒ 하느님이 보우(保佑)하사
우리 대한 만세 ⇒ 우리 나라 만세
바람 이슬 불변함은 ⇒ 바람 서리 불변함은
님군을 섬기며 ⇒ 정성을 다하여

4. 보통명사 '애국가'에서 고유명사 <애국가>로

1907년경 처음 출현(出現)한 '동해물과 애국가(무궁화歌2)'는 도산(島山) 안창호와 관련이 깊다. 우선 '동해물과 백두산이...'로 시작하는 현행 <애국가>의 작사자가 누구냐 하는 논쟁에 있어 당사자의 1인일 뿐 아니라, 그보다도 '동해물과 애국가'가 대한민국 국가(國歌) 대용(代用) <애국가>로 정착하게 된 데는 도산 안창호의 선택(選擇)과 앙양(昂揚)이 결정적인 역할을 했기 때문이다. 이 연재글의 주요 내용에 '애국가 작사자 진실규명'이 포함되어 있는 바, 이 문제는 추후 별도로 상세하게 논증할 것인즉 여기서는 일단 유보하기로 하자.

1907년초 미국 생활을 중단하고 전격 귀국한 청년 안창호는 국권회복 비밀결사체인 '신민회'를 구상하고 주권재민 독립국가 건설을 목표로 은밀히 조직을 결성해 나간다. 그리고 이 같은 조직 확장과 더불어 실의에 빠진 국민들로 하여금 민족 정기와 독립 정신을 분발케 할 방법으로 생각해낸 것이 이른바 '애국창가운동'이다. 1907년 이후 수년 동안 안창호는 스스로 수많은 애국가 류(類)와 공립협회 · 흥사단 등 단체의 단가(團歌) 노랫말을 지어냈을 뿐 아니라 이 노래들을 힘차게 부르고 보급하는 일에 앞장섰다. 그 결과 먼저 만들어진 '성자신손 애국가(무궁화歌1)와 더불어 새로 나온 '동해물과 애국가(무궁화歌2)가 학교와 교회, 단체와 집회 등을 통해 민간에 널리 파급되어 불리게 된다.

그러다가 1910년 한일합병이 체결되고 일제의 탄압이 극심해지자 국내에서는 애국가 류를 부르는 것이 금지되고 창가책도 다 압수당하는 지경이 되었다. 그러나 국외에서는 일제의 탄압을 피해 독립기지를 건설하려는 행동이 멈추지 아니하였으니, 이회영 선생이 간도에 세운 신흥무관학교, 이동휘 선생이 세운 광성학교, 또 안창호 선생이 주도한 미주(美洲) 대한인국민회, 이승만 박사와 가까운 하와이 동포들 안에서는 독립정신 고양을 위해 애국찬미가와 독립군가를 보급하는 일에 열성을 다한 바, 그 중 가장 큰 호소력과 결집력을 가진 노래로 '동해물과 애국가(무궁화歌2)'가 점차 부각되었다.

그러다가 '동해물과 애국가'가 우리 조선사람, 대한국민들 사이에서 폭발적으로 터져나온 것이 바로 3.1 만세운동 때이다. 3.1 운동 당시 우리 조선사람들은 너도나도 숨겼던 태극기를 들고 나오고 누구라도 '동해물과 백두산이 마르고 닳도록'을 목청껏 따라 불렀다. 다시말해 1907년경 새로 지어진 후 10여 년 동안 '동해물과 애국가'는 일제의 탄압에도 불구하고 민간 사이에 놀랍게 전파되어 사람들 몸과 마음 속에 잠재(潛在)해 있었던 것이다.

이 현상을 어떻게 해석할 것인가? 주관적이겠으나 나의 견해는 대체로 3가지로 요약된다. 첫째는 이 노래가 갖고 있는 민요(民謠)적 특성이다. 여기서 말하는 민요적 특성은 찬송가에서도 발견되곤 하는 것으로, 후렴이 있어 같은 노랫말을 되풀이하기 때문에 쉽게 따라할 수 있고 함께 부를수록 더욱 힘이 난다는 의미이다. 둘째는 '무궁화歌'의 곡조를 스코틀랜드 민요 '올드 랭 사인'에 의탁(依託)한 것이 주효했다고 본다. 같은 처지에 있는 나라의 애절한 선율이 간절한 노랫말과 결합함으로써 단지 찬양을 위한 찬송가와는 달리 망국의 설움과 독립의 염원을 담아내는 정서적 일체감이 가능했던 것이다. 셋째, 무엇보다도 민중은 당대의 노랫말로 '무궁화歌1(성자신손 애국가)' 아닌 '무궁화歌2(동해물과 애국가)'를 선택했다. 1919년, 조선민중(대한사람)은 황실봉축(皇室奉祝) 애국가가 아닌 주권재민(主權在民) 애국가를 원했던 것이다.

1919년 3.1혁명의 큰 물결이 일구어낸 가장 큰 성과가 바로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이다. 한일합병 직전 해외로 망명한 도산 안창호는 미국을 거점으로 독립 방략을 모색하던 중 3.1 만세운동 소식을 들었고, 임시정부 동지들의 간곡한 요청으로 멀리 바다를 건너 상해에 도착, 대한민국임시정부 내무총장 겸 국무총리 대행을 맡아 취임하였다. 그는 미주 대한인국민회로부터 상당한 규모의 재정을 지원받아 불란서 조계(租界)에 정청(政廳)을 차리고 정무를 보았다.

그 무렵 대한민국임시정부 기관지인 <독립신문>의 편집장이던 작가 이광수는 당시의 목격담을 다음과 같이 회고해 놓았다.

"정청은 매일 아침 사무 개시 전에 전원이 조회를 하여 국기를 게양하고 '동해물과 백두산이 마르고 닳도록' 하는 애국가를 합창하였다. 도산은 그 웅장한 음성으로 힘을 다하여서 애국가를 불렀다. 이 때문에 처음에는 점잔을 빼던 사람들도 아이들과 같이 열심으로 부르게 되었다. 애국가 끝절에 '이 기상과 이 맘으로 임군을 섬기며' 하는 것을 '이 기상과 이 맘으로 충성을 다하여' 라고 수정하였다"

이광수의 기록은 도산 안창호가 '동해물과 애국가'에 얼마나 열정이 넘치고 자기 분신(分身)처럼 생각했는지 알 수 있는 생생한 증언이 아닐 수 없다.

이 같은 안창호의 선택(選擇)과 앙양(昂揚)으로 해서 '동해물과 애국가'는 보통명사 '애국가'에서 고유명사 <애국가>로 정착하게 되었으며, <애국가>는 대한민국임시정부(大韓民國臨時政府)의 임시국가(臨時國歌)로서의 위상을 갖게 되었다.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매번 결제가 번거롭다면 CMS 정기후원하기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kb국민은행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프레시안에 제보하기제보하기
프레시안에 CMS 정기후원하기정기후원하기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