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화면으로
러시아는 외국인 투자의 무덤인가?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밴드 공유하기
  • 인쇄하기
  • 본문 글씨 크게
  • 본문 글씨 작게
정기후원

러시아는 외국인 투자의 무덤인가?

[러시아 바로 보기] ⑥

올해는 한-러시아 수교 30주년이 되는 해이다. 1990년 9월 한국과 소련의 수교는 북방외교의 대단한 성과로 칭송받았었다. 그러나 30년이 지난 지금 러시아에 대한 한국인의 시선은 경시, 또는 무관심으로 바뀌었고, 이는 양국 간의 상호 이해 및 협력에 큰 장애가 되고 있다. 하지만 러시아는 우리가 절대로 무시해서는 안 될 유라시아의 군사정치 대국이다. 북핵 문제 해결, 나아가 한반도 평화와 남북 통일을 위해서 그리고 유라시아 대륙으로 뻗어나가기 위해서 러시아와의 협력은 긴요하다. 러시아에 대한 한국인의 경시는 러시아 및 한-러 관계의 실상에 대한 오해와 편견에서 비롯된 측면이 크다. 이에 <프레시안>은 32년의 외교관 생활 중 11년을 러시아에서 활동한 러시아 전문가 박병환 유라시아전략연구소장의 '러시아 바로보기'를 통해 러시아의 실상과 한-러 관계의 진실을 파헤쳐본다.

박병환 소장은 1985년부터 2016년까지 외교관으로 활동했으며 우즈베키스탄 공사, 이르쿠츠크 총영사, 러시아 공사 등을 역임했다. 영국 옥스퍼드대 외교관 연수과정(1987~89년)과 러시아 외교부 산하 외교아카데미(2005-07년)에서 수학했고, 외교관 퇴임 후 상명대 글로벌지역학부 초빙교수를 거쳐 올해부터 유라시아전략연구소에서 러시아 연구를 계속하고 있다. 2009년 <시베리아 개발은 한민족의 손으로>(공저, 국학자료원)를 펴냈고 곧 러시아에 관한 신간을 펴낼 예정이다. 다음은 '러시아 바로보기' 연재 순서.(편집자)

① 대러시아 경협차관은 과연 우리가 떼인 돈인가?
② 러시아는 우크라이나를 침략하였나?
③ 스킨헤드가 준동하는 나라?
④ 나로호 발사, 왜 러시아와 협력했나?
⑤ 국민 생선 명태와 러시아의 갑질?
⑥ 러시아는 외국인 투자의 무덤인가?
⑦ 러시아와 소련, 뭐가 다른가?
⑧ 푸틴은 독재자인가?
⑨ 러시아는 중국과 동맹관계인가?
⑩ 한국 언론의 러시아에 대한 오해와 곡해

러시아는 외국인 투자의 무덤인가?

일반적으로 한국 사람들은 러시아의 투자환경이 좋지 않다고 말한다. 그런 인식의 기저에는 다음과 같은 고정관념 또는 편견이 자리 잡고 있다고 본다. 우선 땅은 넓으나 인구가 적어 시장이 작다. 규제가 많고 법령이 자주 바뀌며 전반적으로 투명성이 떨어진다. 또한 2014년 이래 미국과 유럽연합이 러시아에 대해 경제제재를 하고 있기 때문에 투자에 많은 제약이 있다. 과연 그런가? 좀 더 객관적으로 들여다보기로 한다.

우선 러시아는 인구가 현재 약 1억5천만 수준으로 물론 중국, 인도 등에 비해서는 적지만 세계에서 인구대국 중 하나이다. 그러한 러시아에 대해 시장이 작다고 하는 것은 지나친 이야기이다. 더구나 러시아가 개발도상국도 아니고, 소득수준이 적어도 중위권인데 이만한 규모라면 무시할 수 있는 시장이 아니라고 본다.

두 번째, 러시아의 외국인 투자환경에 관한 국제적 평가를 보자. 2020년에 세계은행이 발표한 기업활동 환경 평가 순위(Doing Business ranking)에서 러시아는 190개국 가운데 28위로 31위의 중국보다 나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세계은행은 매년 사업 착수(starting a business), 건축 허가(dealing with construction permits), 전력 확보(getting electricity), 부동산 등록(registering property), 금융 접근(getting credit), 중소투자자 보호(protecting minority investors), 납세(paying taxes), 수출입(trading across borders), 계약 이행(enforcing contracts), 파산 절차(resolving insolvency) 등 10개 지표별로 각 나라(2개 도시)의 현황을 실사하여 비교 평가하고 그에 따라 국가별 순위를 매기고 있다. 참고로 요즘 한국 기업들이 몰려간다는 베트남은 세계은행 평가에서 70위이다. 베트남에 대한 외국인 투자가 활발한 이유로 사람들은 베트남의 투자 환경을 생각하는데 베트남의 전반적인 투자환경이 양호하다기보다는 주로 제3국으로 수출하는 기업들이 현지의 저렴한 노동력을 활용하여 생산 단가를 낮추려는 목적으로 투자하고 있을 뿐이다.

그리고 영국의 파이낸셜 타임스(Financial Times)는 유럽 도시들 가운데 투자 매력도가 높은 도시로서 모스크바를 런던, 파리, 암스테르담, 뮌헨에 이어 5위로 평가한 바 있다. 그간 러시아 정부는 특별경제구역, 선도개발구역 및 자유항, 산업단지, 혁신센터 등을 건설하고 인프라 구축, 행정 간소화, 세금 혜택 등을 통해 비즈니스 여건의 개선에 적극적이었다. 특히 러시아 정부는 수입대체를 위한 제조업 육성을 위해 각종 지원책을 시행하고 있는데 이를 활용한 서방 기업들의 진출이 활발하다.

세 번째, 러시아 중앙은행의 최근 통계에 따르면 2017년부터 2019년 3/4분기까지 기간에 러시아에 대한 외국인 직접투자 순유입액은 약 633억 달러인데 한국의 투자는 2억 달러 정도로 비중은 0.3%에 불과하다. 그러면 다른 선진국들의 동향은 어떠한가? 러시아에 대한 제재에 앞장서고 있는 유럽과 미국 기업들이 오히려 적극적이다. 구체적으로 영국 75.5억 달러, 프랑스 38억 달러, 독일 17.5억 달러, 미국과 이탈리아가 각각 7.8억 달러, 일본 5억 달러 등이다. 이런 수치는 러시아에 대한 경제제재의 대상이 에너지, 군수, 금융 등 특정 분야 기업들과 제재대상인 개인이 일정 지분 이상을 소유하고 있는 기업에 한정되므로 제재가 실제로 러시아 비즈니스 전반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라는 것을 말해준다. 그런데 한국 정부는 러시아에 대해 경제제재를 취한 적이 없는데도 불구하고 한국 기업들이 서방 기업들에 비해 매우 소극적이다. 한국 기업들은 지레 겁을 먹고 있는 걸까? 아니면 그냥 관심이 없고 그래서 실상을 모르고 있는 걸까?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러시아가 투자환경이 열악하다고 말하기는 어려우며 러시아로 들어오는 외국인
직접투자 가운데 극히 미미한 비중을 차지하는 한국이 러시아의 투자환경이 이러네 저러네 하고 말하는 것은 주제 파악을 못 하는 이야기라고 본다.

과거 일화를 소개하면 2006년 러시아 프라드코프 총리가 방한했을 때 한명숙 총리가 러시아의 외국인 투자환경에 대해 지적했는데 당시 러시아 총리가 대꾸하지 않고 화제를 다른 데로 돌렸다고 한다. 2005년 말 기준 한국의 대 러시아 투자 누계는 약 3억7,000만 달러에 불과했고 2005년 한 해만 본다면 러시아에 유입된 외국인 직접투자 총액은 137억 달러이고 그중 한국의 투자는 1억 달러로서 비중이 0.7%이었다. 한마디로 말해 큰손도 아니면서 주제넘은 지적을 하였다고 할 수 있다.

어쨌든 현재까지 러시아는 한국 기업들에게 투자 대상지로서 인기가 낮다. 한국과 러시아가 수교한 이래 교역은 꾸준히 성장세를 보였지만 투자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지기 시작한 것은 2000년대 중반이었다. 2018년을 보면 러시아에 대한 한국 기업들의 투자는 1억700만 달러이고 총 해외투자의 0.1%에 불과하다.

그리고 이제까지 러시아에 진출한 한국 기업은 대부분 고전을 면치 못하였을까? 한국 언론은 그간 성공사례 보도에는 인색한 반면 실패사례에 집중했을 뿐이다. 삼성전자와 LG전자는 냉장고, 세탁기, 진공청소기 등을 현지에서 생산하고 있으며 시장점유율은 압도적이다. 초코파이로 유명한 오리온제과, 사발면 도시락으로 더 알려진 팔도라면 그리고 롯데제과도 현지 공장을 세워 승승장구하고 있다. 롯데 호텔의 경우 모스크바와 상트페테르부르크에 호텔을 열어 양호한 영업실적을 올리고 있고, 현대자동차는 2010년 현지 공장을 준공했으며 이곳에서 생산되는 ‘솔라리스’ 모델은 러시아에서 국민차로 불릴 만큼 잘 팔린다. 그리고 CJ제일제당은 비비고 브랜드의 왕교자, 군만두, 물만두, 찐만두, 새우만두 등을 현지에서 생산하여 호평을 받고 있다.

물론 실패 사례가 없는 것은 아니다. 2013년 현대중공업이 연해주에 투자한 고압차단기 공장이 대표적인 예이다. 러시아 내 유일한 수요자인 연방송전망공사의 권유로 현지 생산을 위해 5000만 달러를 투자했는데 당초 약속과는 달리 러시아 정부의 투자계획이 수정되어 구매할 수 없다고 해 현지 공장은 가동되지 못했으며 나중에 러시아 측이 발주하게 되었으나 당시 루블화 가치 하락으로 채산성이 맞지 않아서 수주할 수 없었고 결국 철수했다.

그렇다면 무엇이 문제인가? 2018년에 어느 대형 법무법인의 변호사에게서 들었는데 모 기업 측에서 러시아 프로젝트에 대한 자문을 의뢰하면서 부정적인 결론을 내달라고 부탁하더라는 이야기를 들었다. 기이한 일이지 않은가? 한국 기업들보다 비즈니스 기준이 훨씬 높은 서방 기업들이 선전하고 있는데 반해 한국 기업들은 러시아 시장에 대한 정보 수집은 소홀히 하면서 서방 제재가 있어 비즈니스가 어려우리라는 막연한 선입견만 갖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필자가 모스크바에 근무할 때 관찰한 바에 따르면 서방 기업들은 사업 준비 과정에서 한국인의 눈으로 볼 때는 공연한 지출로 보일 정도로 많은 비용을 현지 컨설팅 회사의 자문을 받는 데 쓰고 있다. 사업을 추진하면서 장애 요소나 리스크를 사전에 철저히 파악하고 대비하려고 한다.

가끔 한국 기업인들과 대화하다 보면 러시아에서는 영어가 잘 통하지 않아 언어 장벽이 있다고 한다. 그런데 필자가 아는 한 러시아인들의 영어 실력은 적어도 국제 비즈니스를 하는 사람이라면 한국인들보다 수준이 높으며 오히려 러시아에 와서 사업을 하겠다는 한국인들 중에 러시아어는 물론이고 영어도 구사하지 못 하는 경우가 많다. 주위를 살펴보면 영어가 안 통한다고 투덜대는 사람들은 실제로는 영어 구사력이 부족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반면에 유럽에서 온 기업인들은 영어뿐만 아니라 러시아도 꽤 구사한다. 우선 비즈니스에서 가장 중요한, 현지인과의 소통 측면에서 한국인들은 서구인들에 비해 경쟁력이 떨어진다. 그리고 영어든 러시아어든 문제가 있으면 유능한 통역을 써야 되는데 사례비에 인색하다 보니 부실한 통역을 쓸 수밖에 없고 부실한 통역은 비즈니스에 문제를 야기한다. 또 하나 안타까운 것은 상대방은 통역의 러시아어를 알아들을 뿐인데 마치 자신의 한국어를 직접 알아들은 것으로 착각하는 경우도 많다.

어떤 나라와의 비즈니스도 결국은 사람과 사람 간 접촉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인적 네트워크 구축이 긴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러시아인의 심리상태 또는 의식구조에 대한 이해, 즉 시장적응능력 제고에 보다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가끔 한국인들이 서구인들과 비교하며 러시아인들의 비즈니스 매너가 이러네 저러네 하는데 이해할 수 없다. 왜냐하면 비즈니스 파트너는 평가의 대상이 아니라 적응의 대상이기 때문이다.

현재 상황을 보면 ‘목수가 자기 재주가 부족한 줄 모르고 연장 탓’만 하고 있는 것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러시아 시장에의 진출은 안 하는 것이 아니라 실은 못 하는 것은 아닐까? 그간 정부는 신북방정책을 주창하여 북방 진출 분위기를 조성하려 하였으나 대부분 한국 기업들은 여전히 러시아 시장에 대해 소극적 태도를 보이고 있다. 투자는 수출의 견인차 역할을 한다. 한국 수출의 중국 시장에 대한 과도한 의존을 탈피하기 위해서도 대체시장의 하나가 될 수 있는 러시아 시장에의 진출 노력이 배가되어야 할 것이다.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매번 결제가 번거롭다면 CMS 정기후원하기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kb국민은행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프레시안에 제보하기제보하기
프레시안에 CMS 정기후원하기정기후원하기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