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감경기 지표인 국민총소득(GNI)을 결정하는 수출입물가가 외환위기 이후 최대폭으로 오르고 수입물가가 수출물가를 앞지르는 등 물가불안이 심각한 것으로 드러났다.
***수출입물가 외환위기 이후 최대 폭 상승**
한국은행이 13일 발표한 ‘8월 중 수출입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수입물가지수(2000년=100)는 113.41로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 16.7% 올랐다. 이는 지난 98년 10월(25.6%) 이후 5년10개월 만에 가장 높은 증가율이다. 수입물가는 5월 이후 넉달째 두 자릿수의 증가율을 보이고 있다.
이처럼 수입품 가격이 급등하면서 국내 소비자물가 상승 압력은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수입물가 통계는 계약시점 기준으로 작성돼 통관시점과 1개월 정도 시차가 있기 때문에 9월부터 국내 물가에 본격적으로 반영될 것으로 보인다.또 수출품 가격 상승은 가격 경쟁력에 의존하는 국내 기업의 수출경기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우려된다.
한은은 수입물가가 10% 상승하면 소비자물가는 1.8%, 생산자물가는 2.9% 오르는 것으로 분석했다. 이에 따라 9월 물가지수도 정부 물가관리목표치인 3.6%를 벗어나 4%대를 훌쩍 넘을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8월 중 수출물가지수도 95.90으로 작년 동기보다 11.2% 올라 지난 98년 11월(16.4%) 이후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올해 상반기 국민소득 구매력 손실 13조원**
이처럼 체감경기가 나쁜 것은 국제유가 등의 급등으로 교역조건이 악화돼 국민들의 실질 구매력이 떨어졌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지난 2분기 실질 국민총소득 증가율은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4.5%가 증가했으나 실질 국내총생산, GDP 증가율 5.5%에는 미치지 못했다. 실질 국민총소득 증가율은 지난 2002년 4분기부터 7분기 연속 실질 국내총생산 증가율을 밑돌고 있다.
수출물가보다 수입물가가 더 많이 올라 교역조건 악화로 발생한 실질무역손실은 지난 2분기만 5조2천7백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51%나 증가했다. 국민소득의 구매력이 5조원 이상 감소한 것이다.
1분기에도 실질무역손실이 7조7천2백52억원으로 올해 상반기에만 12조9천9백93억원에 달해 지난해 연간 손실액(17조8천5백73억원)의 72%에 달하고 있다.
***2분기 배당금.이자 소득 순유출 1조2천억원**
특히 2.4분기에 국내기업이 외국인 주주에게 지급한 배당금도 급증해 구매력 손실규모를 키웠다. 외국인 배당금 지급액은 21억달러로 1.4분기 12억달러봐 75%가량 증가했다. 이에 따라 우리 국민이 외국에서 벌어들인 배당금, 이자 등의 요소소득에서 외국인들이 받아간 요소소득를 뺀 순지급규모는 1조2천6백98억원에 달했다. 이는 지난 2000년 2·4분기 1조3천1백56억원 이후 4년만에 최대치다.
한편, 2·4분기 총저축률은 35.9%로 지난해 동기에 비해 3.3%포인트 상승했고 전분기보다는 4.4%포인트 높아졌다. 이 기간의 저축률은 지난 99년(35.9%)과 같은 수준으로 외환위기 때인 98년(38.2%) 이후 최고 수준이다.
한은은 저축율이 이처럼 상승한 것은 체감경기가 나빠 소비심리가 위축되면서 국민이 소비를 줄였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