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 시장이 그리고 있는 마산만 살리기와 동북아 신해양 거점도시 프로젝트가 조만간 본격 가동이 주목된다.
지난 2일 시무식을 대신한 “시민선정 100대 역점과제 보고회”를 마치고 양덕동 하수중계펌프장을 순시했다.
3일에는 행정선을 타고 마산항 제2부두, 구산해양관광단지, 마산 로봇랜드, 저도 콰이강의 다리, 신항, 속천항 등을 방문, 운영현황과 사업 진행상황을 집중 점검했다.
창원시 경제구조는 바다를 끼고 있는 도시임이 무색할 만치 내륙의 산업 밀집도가 높다. 여기에 바다를 단순히 매립과 개발 대상으로만 치부하는 등 상대적으로 관리가 소홀하였고, 324km의 리아스식 해안선은 관광·문화자원으로 제대로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
하지만 바다로의 가능성에 주목한 허 시장은 “동북아 신해양거점도시 비전”마련과 “수영하는 海맑은 마산만 부활전략” 등 2대 해양 프로젝트를 발표하여 일찍이 바다를 활용한 먹거리 안을 마련한 바 있다.
특히 제2신항 등 글로벌 탑 클래스급 물류허브가 창원으로 결정되어 허 시장의 바다로의 확장 전략은 더 힘을 받고 있다.
이런 연유로 새 해 해상순시는 324km 워터프론트 조성 등 해양관광 인프라 고도화와 바다로의 경제영역 확장 등 본격 사업 착수에 앞서 현장을 점검하고 실천 안을 세밀하게 다듬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허 시장은 지난해 5월 동북아 신해양 거점도시 프로젝트를 발표하면서 ‘해자천하지대본(海者天下之大本) 시대’를 강조했다.
또한 시장 집무실 내에 설치된 주요사업 현황지도를 기존과 다르게 거꾸로 제작하여 내륙 뿐 만 아니라 바다로의 확장의지를 보여주고 있다.
허 시장은 “창원의 먹거리 구조는 바다와 내륙 2개의 축으로 미래 먹거리 배양 토대를 준비 중이다”며 “지난해에는 스마트 선도산단, 강소연구특구 등 창원 내륙에 집중했다면 올해에는 바다를 통해 창원의 경제영역을 확장하고 해양주권을 되찾는 등 명실상부한 동북아 해양 거점도시로 위상을 분명히 할 것이다”라고 말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