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문재인 대통령과의 정상회담 당시 후쿠시마에서 배출되는 '오염수'에 포함된 방사성 물질 양이 '한국 원전 배출수의 100분의 1 이하'라고 주장한 것으로 알려졌다.
일본 <산케이신문>이 29일 한일 외교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한 내용을 보면, 지난 24일 중국 청두에서 문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에서 아베 총리는 일본 정부 소위원회의 자료 등을 근거로 2016년의 후쿠시마 원전 서브 드레인에서의 트리튬(삼중수소) 배출량이 연간 1300억 베크렐인 반면에 한국의 월성 원전이 같은 해 액체 상태로 방출한 트리튬 양은 약 17조 베크렐로, 약 130배에 달한다고 설명했다.
아베 "과학적으로 냉정한 논의가 행해져야 한다"
당시 아베 총리는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문제를 제기하는 한국 정부를 겨냥해 "과학적으로 냉정한 논의가 행해져야 한다"는 입장을 문 대통령에게 피력했다고 이 신문은 전했다.
<산케이>는 아베 총리를 두고 "국제 조류에 역행하는 형태로 막무가내로 수입규제를 계속하는 한국에 과학적 근거에 기초한 대응을 요구하기 위해 굳이 한일 양국의 데이터를 비교한 것으로 보인다"며 이에 대한 문 대통령의 반론을 포함한 반응은 없었다고 전했다.
그러나 청와대는 관련해서 문 대통령과 아베 총리 간의 청두 회담 다음 날,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문제가 논의된 사실을 공개한 바 있다.
당시 문 대통령은 "이 문제의 중대성에 비해 일본의 정보공유나 투명한 처리가 부족하다고 느껴진다. 일본 정부에 관련된 사람들로부터 논란이 될 만한 발언도 나오고 있다"고 문제를 제기했고, 아베 총리는 "투명하게 정보를 공유할 용의가 있다"는 답을 했다.
아베 제시한 자료, '오염수'와 다른 것으로 추정
문제는 아베 총리가 문 대통령에게 자료를 제시하며 언급한 배출수는 한국 정부나 국제환경단체 등이 거론하는 '오염수'와 다른 것으로 추정된다는 점이다. 현재 한국 정부와 국제단체 등에서 문제로 제기하는 '오염수'는 아베 총리가 정상회담에서 거론한, 서브 드레인에서 퍼 올린 물이 아니기 때문이다.
한국 정부와 국제단체 등에서 문제로 지적하는 '오염수'는 2011년 후쿠시마 제1원전 원자로 내의 용융된 핵연료를 냉각할 때 발생하는 고농도 방사능 오염수를 다핵종제거설비(ALPS)로 정화처리한 물이다.
이 물은 인체에는 큰 해가 없는 것으로 알려진 트리튬(삼중수소)을 제외한 방사성 물질(62종)의 대부분을 제거한 상태이긴 하지만 여전히 인체에 치명적인 세슘-137, 스트론튬 등 일부 방사성 물질을 함유하고 있다.
반면, 아베 총리가 제시한 자료의 배출수는 오염원(원자로 내 핵연료)에 닿기 전의 지하수를 언급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