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청이 낭충봉아부패병(토종벌유충썩음병)에 강한 새 토종벌 개발을 마치고, 농가 보급에 속도를 내기로 했다.
28일 농진청에 따르면 낭충봉아부패병은 토종벌 유충에 발생하는 바이러스성 전염병으로 지난 2009년 첫 발생 이후 2년 만에 전국 토종벌의 75%가 폐사되는 피해를 가져왔다.
신품종 토종벌은 2017∼2018년 2년간 전국 9개 지역에서 현장실증시험과 지역적응시험을 거쳐 낭충봉아부패병 저항성과 벌꿀 채밀량이 우수함을 확인했다.
또 시험결과, 저항성 신품종은 유충 체내에 바이러스가 잠복하더라도 질병의 발병 및 일반 토종벌에 전염을 유발하지 않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농진청은 올해 전북과 경기, 강원, 충북, 전남, 경북, 경남 등 전국 7개 지역 신기술보급시범사업장에 원종을 분양했다.
일반 벌과 섞이는 것을 막기 위해 육종농가들이 전남 완도 보길도, 경남 통영 욕지도 등 격리된 섬에서 신품종 토종벌을 증식할 수 있도록 지원해 9월부터 일반 토종벌 농가에 보급을 시작했다.
최근 경기 일부 지역에서 나타난 의심증상은 현장 확인 결과 낭충봉아부패병의 전형적 발현 양상은 아닌 것으로 보이나 농가 안전사육을 위해 지속적인 모니터링할 계획이다.
농진청은 앞으로도 월동 기간 중 발생할 수 있는 냉해피해 예방 등을 위해 기술지원을 추진키로 했다.
한편 내년에는 올해 7개 농가에서 증식된 신품종 토종벌을 기반으로 21개 지역에서 신기술보급시범사업을 추진하고, 오는 2021년까지 토종벌 보급과 토종꿀 생산 기반 복원에 주력할 예정이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