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농촌진흥청의 '스마트팜 다부처 패키지 혁신기술개발' 사업이 예비타당성조사를 최종 통과했다.
28일 농진청에 따르면 예타 통과로 스마트팜 연구개발(R&D)에 농촌진흥청·농림축산식품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공동으로 오는 2021년부터 7년 간 3867억 원이 투자된다.
이 사업은 지난해부터 농식품부·농진청·과기부 등 3개 부·청이 공동 기획한 것.
기존 스마트팜 R&D가 농업 편의성 제고를 위한 1세대 스마트팜 개발에 집중한 것과 달리 이번 사업은 데이터 기반의 지능형 의사결정을 통해 저투입․고효율의 안정적 농축산물 생산이 가능한 스마트팜을 구현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현행 스마트팜 기술 고도화 및 현장 실증을 비롯해 자동화된 지능형 농장을 구현하기 위한 차세대 원천기술 개발 등 2개 내역 사업을 구성해 연구할 계획이다.
농진청 등 3개 부·청은 긴밀한 협조 아래 사업 추진 기반을 조속히 마련해 성공적인 사업 추진을 이끌 계획이다.
이들 기관은 사업 추진을 위한 별도의 사업단 설립 절차에 조속히 착수해 사업단에 범부처 스마트팜 R&D 컨트롤타워 역할을 부여할 방침이다.
뿐만 아니라 사업에 참여하는 연구자들이 연구 데이터를 저장․분석․공유할 수 있도록 스마트팜 R&D 빅데이터 플랫폼을 내년에 조기 구축할 예정이다.
농진청 관계자는 "이 사업을 통해 국내 스마트팜 기술이 한 세대 발전할 것"이라며 "청년들이 농업에서 매력을 느끼고 농업에 도전할 수 있도록 스마트팜 R&D가 인식 대전환을 가져오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