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화면으로
청계천 복원공사 '무기한 중단'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밴드 공유하기
  • 인쇄하기
  • 본문 글씨 크게
  • 본문 글씨 작게
정기후원

청계천 복원공사 '무기한 중단'

'문화재 보존위' 가동, 이명박 '최대 치적' 좌초 위기

차기 '대권 후보' 이명박 서울시장이 최대의 치적으로 삼겠다는 '청계천 복원사업'이 좌초될 위기에 놓였다. 내년 9월 완공 예정으로 빠른 속도로 진행되던 청계천 공사 도중 잇따라 문화재가 출토돼 제동이 걸렸기 때문이다. 특히 광교나 오간수문(五間水門), 호안석축(護岸石築)을 비롯해 모전교,수표교,하량교,효경교 등 등 귀중한 문화재가 발견된 6개 구간은 8일부터 공사가 중단됐다.

***'청개천 사업', '문화재 복원 요청'에 중대기로**

서울시 청계천복원추진본부는 문화재청이 추천한 인사 6명과 서울시 추천 인사 3명 등 총 9명으로 구성된 ‘청계천 문화재 보존 전문가 위원회를 구성해 12일 오후 3시 첫 회의가 열릴 예정이다. 서울시에 따르면 위원회 측이 문화재 복원 방식을 원형 원위치 복원으로 할 것인지 또는 이전 후 복원으로 할 것인지 결정을 내리려면 상당한 시간이 요구돼 문화재 발견을 공사가 중단된 구간에 대한 공사 재개가 언제 가능할지 알 수 없다는 것이다. 9개월째로 접어든 청계천 복원 사업이 중대 기로에 처한 것이다.

위원회가 구성된 것은 지난달 27일 청계천 발굴조사 지도위원회가 청계천에서 발굴된 유구(遺構·건축물 등의 남은 흔적) 처리 방안을 별도의 대책위원회를 빨리 구성해 마련할 것을 권고한 데 따른 것이다.

위원회는 문화재위원회 김동현 건조물분과위원장, 한영우 사적분과위원장, 정영화 매장문화재분과위원장과 문화재위원인 고고학자 조유전, 전통조경학자 정재훈씨, 문화재전문위원인 석조문화재전문가 손영식(이상 문화재청 추천)씨와 장승필 서울대교수(구조공학), 송재우 홍익대교수(수리학), 최종현 한양대교수(도시공학) 등으로 구성됐다.

당초 이명박 서울시장은 청계천 복원사업의 취지를 설명하면서 “광교와 수표교 등 역사 유적을 복원해 서울을 역사도시로 만들겠다”고 선언했다. 그러나 서울시가 2002년 9월 조례까지 만들어 위촉한 청계천복원 시민위원회측은 "지난해의 기본구상에서부터 실시설계안에 이르기까지 서울시의 역사 복원 의지를 찾아볼 수 없다"고 지적하고 있다. <토지>의 작가 박경리씨는 일간지 기고문을 통해 "청계천 사업이 복원인줄 알았더니 개발이었다"고 통렬하게 비판하기도 했다.

시민위는 기본적으로 광교, 수표교에 대해서는 원형, 원위치 복원이 가능하다는 입장인 반면 서울시는 홍수 및 교통 등을 이유로 원형·원위치 복원은 불가능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시민위원회는 실시설계안에 따르면 하천 폭은 공사가 시작되는 광교에서 동대문까지 21~23m 정도인데, 과거의 광교 폭이 12m, 수표교가 27m라는 점에서 볼 때 결국 광교는 짧아서, 수표교는 길다는 이유로 서울시가 다리를 원형 복원하지 않으려 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시민위원회, 청계천 조경설계도 전면 수정 요구**

게다가 문화재 복원 문제 뿐 아니라 하천변 조경 문제도 새로운 쟁점이 되고 있다. 서울시 설계안에 따라 조경시설이 갖춰진 인공둔치를 조성할 경우 홍수 때마다 개천이 넘칠 것이라는 지적이다. 설계안에 따르면 하천 수면으로부터 불과 50㎝ 밖에 떨어지지 않은 곳에 산책로를 겸한 인공 둔치(저수부지)가 만들어지고 저수부지에서 2~3m 높이에는 고수부지를 조성해 각종 화초를 심기로 돼 있다. 이럴 경우 조그만 비에도 둔치는 범람하기 일쑤고 고수부지 역시 폭우가 쏟아지는 장마철에는 물에 잠길 수밖에 없다는 것이 시민위측과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이에 따라 전문가들은 청계천에는 인공 둔치와 고수부지 등을 없애는 게 바람직하다는 의견을 제시하고 있다. 안정성을 무시한 채 화초와 산책로로 꾸며지는 청계천은 하천이 아닌 공원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시민위원회는 과거 하천 폭을 살리는 대신 다리 옆에 빗물을 흡수하는 홍수박스를 별도로 설치하는 방안을 1년전부터 제시해 왔다면서 12일 기획조정위원회를 열어 시에 실시설계안을 전면 수정할 것을 공식 요구할 것으로 알려졌다.

문화재청도 11일 오전 11시 사적분과 위원들의 청계천 공사구간 현장 답사를 거쳐 19일께 청계천의 사적 지정(또는 가지정) 여부를 결정하기로 했다. 문화재청은 이어 이날 오후 옛 모전교(지금의 동아일보사) 앞 호안석축 48m의 기초석과 면석 15개가 공사 과정에서 유실됐다는 지적에 따라 석축의 모양과 갯수를 미리 기록해 둔 실측도면과 서울역사박물관으로 옮겨 둔 실제 석축을 대조해 보기로 했다.

***이 시장, "수표교와 광교 외에 문화재 가치 없다" 발언에 '망언 규탄 집회'**

청계천 공사에 제동이 걸리자 이명박 서울시장은 신경질적인 반응을 보이는 등 초조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6개 구간 공사가 중단된 9일 이 시장은 인터넷매체 <미디어다음>과의 인터뷰에서 청계천 복원공사 구간에서 출토된 조선시대 다리의 기초석과 기둥, 호안석축(하천 벽이 무너지는 것을 막기 위해 쌓은 석축) 등에 대해 “문화재로서 가치가 없다”면서 “청계천에서 문화재로서 비중있는 것은 수표교(서울시 유형문화재 18호)와 광교(1410년 축조)뿐”이라고 주장했다.

이 시장은 또 대하소설 <토지>의 작가 박경리씨가 지난 6일자 <동아일보> 기고를 통해 “서울시의 청계천 공사는 조경만 강조했을 뿐, 역사복원과 거리가 멀다”고 지적한 데 대해 “그걸 본인이 썼겠나”라고 무시하는 발언을 했다가 서울시는 기사에서 박씨에 대해 언급한 부분을 삭제 요청하는 소동을 벌이기도 했다.

이 시장은 인터넷사이트의 여론조사에서 압도적 다수가 문화재 복원을 외면한 서울시 방침을 반대한 데 대해서도 “전문가가 아닌 네티즌이 신문에 난 것만 봐서 그런 것이고, (시민의) 90% 이상이 서울시 안에 동의한다”며 “반대하는 사람들의 말에 현혹돼 뒤로 물러나면 할 수 있는 게 아무것도 없다”고 말했다.

이같은 발언이 알려지자 청계천 연대와 청계천복원시민위원회, 문학인들은 15일 서울시청 앞마당에서 공동으로 ‘이 시장 망언 규탄’ 항의 집회를 열 계획으로 알려졌다.

이 시장은 지난 5일 강내희 문화연대 집행위원장과 김영주 청계천복원시민위 역사문화분과 위원장, 황평우 한국문화유산정책연구소장 등 5명으로 부터 “서울시가 옛 모전교터(현 동아일보사 남쪽)에서 발굴된 조선 후기 호안석축(護岸石築·제방의 흙이 무너지는 것을 막기 위해 쌓은 석축) 48m 구간을 공사 진행을 위해 이전시키는 과정에서 훼손했다”며 고발 당하기도 했다.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매번 결제가 번거롭다면 CMS 정기후원하기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kb국민은행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프레시안에 제보하기제보하기
프레시안에 CMS 정기후원하기정기후원하기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