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주에어로폴리스 위치도. ⓒ충북경자청
충북도가 항공정비(MRO)단지로 육성하려던 청주 에어로폴리스 1지구를 헬리콥터 정비와 항공기 경정비 시설 용지로 활용하는 방안을 내놓았다.
전형식 충북경제자유구역청장은 17일 도청에서 기자간담회를 열어 “현실적으로 입주 의향을 보이는 회전익 정비업체를 자리 잡게 하고 에어로케이 등 신규 항공업체를 유지하는 활용방안이 긍정적으로 검토되고 있다”고 밝혔다.
충북경자청은 항공정비 관련 업체 관계자, 전문가 등을 대상으로 의견 수렴을 거쳐 에어로폴리스 1지구의 활용 가능 방안을 5개로 압축했다.
회전익 정비단지, 고정익 정비단지, 회전익 단지와 일부 유보지를 남겨둔 혼합형 단지, F-35 전투기 정비창, 청주국제공항 확장에 대비한 용지 활용 유보 등이다.
이들이 가장 선호하는 방안은 혼합형 단지다. 이곳에 헬기정비 관련 업체를 집적화해 정비단지를 조성한다는 것이다.
정비 물량은 민간헬기뿐 아니라 국방부가 군용헬기 정비를 민간외주로 전환하면 수주해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한국은 민간 200대, 군용 800대 등 1000대에 달하는 헬기를 운영하고 있다.
향후 고정익 항공기의 경정비도 추진한다는 구상이다. 이를 위해 청주공항 거점항공사인 에어로케이와 화물전용 저비용항공사(LCC) 유치를 대비해 일부 터를 남겨두기로 했다.
전 청장은 “이 같은 방식으로 단지를 조성하면 2000억 원에 달하는 투자 유치와 1000여 명의 고용창출 등 경제적 파급 효과가 클 것”으로 내다봤다.
헬기정비 산업화를 통해 이른 시일 안에 국내 항공정비 클러스터로 도약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회전익 정비단지나 고정익 정비단지로 단일 개발하는 방안도 검토했지만 MRO 물량 과소 등으로 실현 가능성이 낮은 것으로 분석됐다.
F-35전투기 정비창과 청주공항 발전 연계 용지 활용은 현실성이 떨어지고 앞으로 전망도 불투명한 것으로 예측됐다.
전 청장은 “에어로폴리스 1지구 개발을 계속 유보하면 195억 원에 달하는 매몰비용 회수가 어려지고 2·3지구 연계 개발도 불투명해져 결론을 내야 할 시기가 됐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전문가 등의 의견을 수렴을 거쳐 청주 에어로폴리스 1지구 개발 방향을 확정하겠다”고 말했다.
청주 에어로폴리스 1지구는 애초 MRO단지 조성 용지다. 면적은 15만3000㎡ 규모다. 하지만 한국항공우주산업(KAI)에 이어 아시아나항공의 항공정비 사업 포기로 2016년 8월 좌초됐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