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화면으로
POSTECH–UNIST 공동연구팀, ‘극한 환경’에서 ‘굳건한’ 유기 태양전지 개발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밴드 공유하기
  • 인쇄하기
  • 본문 글씨 크게
  • 본문 글씨 작게
정기후원

POSTECH–UNIST 공동연구팀, ‘극한 환경’에서 ‘굳건한’ 유기 태양전지 개발

자외선 가교결합-식품첨가제 이용해 태양전지 생산

▲어드밴스드 에너지 머터리얼즈 표지 ⓒPOSTECH
식품첨가제를 사용한 친환경 공정에서 자외선 가교결합을 통한 높은 열안정성을 가진 유기 태양전지가 만들어졌다.

POSTECH(포항공과대학교, 총장 김무환) 화학공학과 박태호 교수·통합과정 이준우씨 팀과 UNIST(울산과기원) 에너지 및 화학공학부 김진영 교수·통합과정 김재원씨 팀의 공동작품이다.

이 연구성과는 에너지 분야 권위지인 ‘어드밴스드 에너지 머터리얼즈(Advanced Energy Materials)’ 최신판 온라인판에 표지 논문으로 게재돼 관심을 끌고 있다.

공정 측면에서는 지금까지 유기 태양전지 제조 프로세스는 스핀-코팅 기술과 염소화 용매에 의존했다.

이런 용매들은 높은 독성을 가지고 있어서, 제조 공정에 적용된 후에 강에 버려지면 강물을 오염시키거나 야생동물을 죽이는 등 환경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가 있었다.

이런 이유로 유기 태양전지는 지금까지 연구실 단위에서 제조해왔다.

제조 과정 중에 발생하는 독성 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연구팀은 비대칭구조를 이용해 용해도를 향상시켜 염소 화합물 대신 식품 첨가제로도 사용되는 2-메틸란니솔을 사용했다.

이 방법은 비독성 용매를 사용했기 때문에 친환경적이고 대량 생산에도 적합하다.

안정성 측면에서 유기 태양전지의 재료인 반도체 고분자(P2FBTT-Br)에 자와선을 쐬어 결합시키면 고분자 구조가 고정돼 사슬처럼 단단히 묶어 줌으로써 열에 의한 결정화를 억제해 안정성을 확보했다.

기존 유기 태양전지 연구에서 쓰였던 풀러렌 화합물을 비풀러렌 물질로 치환해 고분자와의 강한 섞임으로 열에 의한 물질 이동 및 엉김도 억제해 안정성을 더욱 확보했다.

그 결과, 사막과 같은 극한 조건 하에서도 열과 빛에 의한 효율 손실을 극적으로 줄었다.

박태호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자외선 가교 결합 및 비풀러렌 사용과 친환경적인 공정으로 유기 태양전지를 상용화 및 대규모로 제조할 수 있게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 연구는 한국연구재단의 기초연구사업,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글로벌 프론티어 사업 ‘나노기반소프트일렉트로닉스연구단’의 지원으로 수행됐다.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매번 결제가 번거롭다면 CMS 정기후원하기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kb국민은행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프레시안에 제보하기제보하기
프레시안에 CMS 정기후원하기정기후원하기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