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헌재 전 재정경제부장관이 우리금융 인수를 위해 앞으로 한두달내에 3조원의 컨소시엄을 구성하겠다는 입장을 공식적으로 밝혔다. 그동안 금융계에서 나돌아온 '이헌재 펀드' 구상이 마침내 실체를 드러낸 것이다.
***"3조 모아 우리금융 인수, 추후 철도청 민영화에도 참여"**
이헌재 전 재정경제부 장관은 9일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신한은행과 조흥은행이 주최한 우수고객 초청 오찬 세미나에서 "우리금융 경영권 인수를 위해 3조원 규모의 연합 컨소시엄을 구성할 계획이며 한두달내에 가능한 형태로 결론내겠다"고 말했다
이 전 장관은 "정부가 추진중인 국영기업과 철도청 등 공기업 민영화, 정리기업 인수에 적극 참여하겠다"며 "첫 과제로 우리금융 민영화에 참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 전 장관은 "단기 차익을 노리는 투자자보다는 투자자금을 최소한 3∼5년동안 보유하는 전략적 투자자들이 핵심 주주로 참여하는 컨소시엄을 구성할 것"이라며 "민영화 참여에 성공하면 2∼3단계까지 펀드가 발전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 전장관은 펀드 구성과 관련, "사모주식투자펀드나 뮤추얼펀드는 제약이 있기 때문에 펀드가 아닌 직접투자, 은행 특정금전신탁, 뮤추얼펀드 등이 참여하는 연합 컨소시엄을 구성할 계획"이라며 "이르면 2월초부터 펀드 조성작업에 들어갈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구체적으로 "투자자들은 직접 투자나 특정금전신탁 형태로 참여하거나 기업의 경우 재무투자 형태로 참여할 수 있고 개인들의 저축자금이나 연기금들이 이 펀드를 많이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 전장관은 세간의 관심을 모아온 해외자본의 참여 허용 여부에 대해 "해외 투자펀드에 대해서도 배타적인 것은 아니며 개방된 형태로 펀드 조성이 추진될 것"이라고 덧붙여 해외자본에도 참여를 허용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그는 펀드 운영과 관련, "펀드를 맡을 인물로 공무원 출신보다는 시장 전문가를 찾고 있으며 시장적 방식에 따라 컨소시엄을 구성하겠다"며 "일단 회계법인으로 삼일회계법인을 선정했다"고 말했다.
***넘어야 할 산봉우리 많아**
이같은 이헌재 펀드 구상과 관련, 시장의 우선적 관심사는 과연 3조원이라는 엄청난 돈을 모을 수 있을지에 쏠리고 있다.
4백조원대 부동자금이 존재하는 점을 고려하면 3조원이라는 돈은 그리 큰 액수가 아닐 수 있으나, 이 전장관이 밝혔듯 이번 펀드가 "최소한 3~5년동안 보유하는 전략적 장기투자"를 지향하고 있다는 점에서 볼 때 과연 단기차익에 익숙한 시중자금이 쉽게 모여들지에 대해 금융계에서는 아직까지 의문을 표시하고 있다.
따라서 금융계에서는 결국 펀드의 구성 성공여부는 연기금 등 국내 기관투자가와 해와자본 등 큰손들의 참여여부에 달려있는 게 아니냐는 관측을 하고 있다.
이헌재 전장관이 "더이상 국내 금융기관이나 기업이 헐값에 외국으로 넘어가면서 경제주도권을 외국자본에 빼앗기는 일을 막기 위해서"라는 취지아래 펀드 구성을 추진하면서도 "해외 투자펀드에 대해 배타적인 것은 아니다"라며 외국자본에 대한 개방 입장을 밝힌 것도 이런 맥락에 따른 게 아니냐는 분석이다.
또다른 문제점으로는 3조원의 기금을 우리금융이라는 단일처에 투자할 경우에 예상되는 '투자 리스크(위험)'이다. 외국의 대형펀드들의 경우 투자위험 분산 차원에서 조성된 돈의 10분의 1이상을 한곳에 투자하지 못하도록 규정, 투자위험을 분산시키고 있다. 따라서 우리금융 한곳에 모든 돈을 투자한다고 하면 리스크가 그만큼 큰 만큼, 과연 어느 정도의 돈이 모일지는 아직 미지수다.
펀드 구성 작업을 진행중인 이 전장관의 측근은 이와 관련 9일 프레시안과의 통화에서 "이헌재 장관이 펀드를 만들고자 하는 것은 결코 투자수익등 개인적 치부에 관심이 있는 게 아니라 경제주권을 수호해야 한다는 사명감 때문"이라며 "이같은 취지에 공감하는 이들이 국내 경제계와 정부내에 상당수 존재하고 있고 이헌재 장관의 브랜드가 국내외적으로 워낙 높은만큼 펀드 구성이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