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라다 요시아키(原田義昭) 일본 환경상이 후쿠시마 제1원전 내 방사성 오염수를 바다로 방출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을 밝혀 논란이 일고 있다
지지통신 등 일본 언론에 따르면 하라다 환경상은 10일 각의 후 가진 기자회견에서 후쿠시마 원전 내 오염수 처리 문제에 대해 “눈 딱 감고 (바다로) 방출해 희석하는 것 말고는 선택지가 없다"고 했다.
그는 "앞으로 정부가 (오염수 처리 문제를) 신중히 논의 할 것이기 때문에 단지 (개인적) 의견으로 들어줬으면 좋겠다"면서도 "안전성, 과학성 측면에서 보면 이것은 꽤 괜찮은 방법"이라고 오염수 해양 방출을 거듭 주장했다.
하라다 환경상은 후케다 도요시 원자력 규제위원회 위원장도 자신과 같은 의견을 가지고 있다고 밝히면서 "지금 나라에 필요한 게 무엇인지를 생각하지 않으면 안 된다"며 "결단을 내리는 게 중요하다"고 했다.
후쿠시마 제1원전은 지난 2011년 3월 동일본대지진 발생 당시 폭발사고를 일으켜 가동이 중단됐으며, 매일 100~400톤 가량 나오는 방사성 오염수를 보관하는 용량이 2022년이면 한계에 달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도쿄전력은 지하수로 방사성 물질을 희석처리한 뒤 원전부지 물탱크에 저장해두고 있다.
일본 정부는 앞서 오염수 대책과 관련해 "현시점에서 구체적인 결론을 내고 있지 않다"고 밝혔다. 그러나 환경상의 이 같은 발언으로 일본 정부가 기존 설명과 달리 원전 오염수의 해양 방류를 사실상 결정한 게 아니냐는 관측을 낳고 있다.
이와 관련해 국제 환경단체 그린피스는 "도쿄전력이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를 해양에 방류하려는 계획을 갖고 있다"면서 방류된 후쿠시마 오염수는 1년 뒤 동해로 유입된다고 설명했다. 그린피스에서 활동하는 원자력 전문가 숀 버니는 "후쿠시마에서 해양으로 (오염수를) 방류할 경우 동중국해, 한국의 동해까지 방사성 3중수소가 유입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그린피스의 이 같은 문제제기에 한국 정부도 지난달 일본 대사관 경제공사를 초치해 사실을 확인하는 한편, 일본 정부에 원전 오염수 처리 계획 등을 보다 투명하고 구체적으로 설명해달라고 요구했다.
정부는 이어 지난 5일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처리 문제를 위한 국제사회 협조 요청 서한문을 국제원자력기구(IAEA)에 발송했으며, 이에 대해 일본 정부는 "과학적 근거에 기초하지 않았다"고 반발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