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 실질적 구매력을 나타내는 지수인 실질 국민소득(GNI)이 최근 2분기째 조금씩 개선되고 있으나 올들어 9월까지 집계 결과, 지난 98년 외환위기 이후 5년만에 처음으로 줄어들은 것으로 나타나 실물경기 침체가 여전함을 보여주고 있다.
전해보다 살림살이가 나빠졌다는 얘기이자, 다수 국민들이 피부로 느끼는 "IMF때 못지않게 살기 힘들다"는 절박감이 과장이 아님을 보여주는 증거다.
***1~9월 누적 실질 국민소득 3백21조**
9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3.4분기 국민소득(GNI) 잠정추계 결과'에 따르면, 1~9월까지 누적 실질GNI는 3백21조3천7백83억원으로 작년동기 대비 0.2% 감소했다. 1∼9월 누적 기준으로 실질 GNI가 감소한 것은 IMF위기가 극심했던 98년 1∼9월의 마이너스 9.8% 이후 처음이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3.4분기에 명목 국민총소득은 1백53조7천8백56억원으로 작년 동기에 비해 4.5% 증가해 2.4분기의 증가율 3.6%을 앞질렀다. 물가상승 등을 감안한 국민소득의 실질 구매력을 나타내는 실질 GNI도 3.4분기에 1백9조7천5백86억원(1995년 불변가격 기준)으로 작년동기 대비 0.9% 증가해 2분기째 소폭 증가세를 보였다.
하지만 3.4분기의 실질 GNI 증가율 0.9%는 이 기간의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인 2.3%에 크게 못미쳐 6분기째 실질 GDP 성장률에 미달하는 상황이 지속됐다.
실질 GNI가 마이너스라는 것은 국민들이 느끼는 체감경기가 그만큼 좋지 않다는 의미이며 실질 GNI 증가율이 실질 GDP 성장률을 하회한 것은 교역 조건이 나빠 국민의 실질 구매력이 약화됐기 때문이다.
***국내 총투자율 1년반만에 최저, 그나마 투자고 해외투자만 해**
국내 총투자율은 18개월만의 최저 수준을 기록해 극심한 설비투자 부진을 반영했다. 국내 총투자율은 23.9%로 작년 동기의 24.6%에 비해 0.7% 포인트가 하락하며 작년 1.4분기의 23.5% 이래 6분기만에 최저치로 떨어졌다.
이는 건설투자는 높은 증가세를 지속했으나, 설비투자 감소 폭이 확대된 데다 재고도 감소했기 때문이다. 반면 국외 투자율은 경상수지 흑자 확대에 힘입어 작년 동기의 0.8%에서 3.2%로 크게 상승해, 그나마 진행되고 있는 투자도 주로 중국등 해외에서 진행되고 있음을 나타내 '산업 공동화' 우려를 심화시켰다.
3.4분기의 총저축률은 작년동기 대비 0.8% 포인트가 상승한 28%로 2분기째 소폭의 상승세를 보였으나, 이는 주로 소비 감소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됐다.
***명목 국민소득은 1만1천달러 돌파 예상**
그러나 이같은 실질 국민소득 감소에도 불구하고, 명목상 지표인 올해 1인당 국민소득은 1만1천달러로 정부가 최근 예상한 추정치(1만9백80달러)를 넘을 것으로 한은은 예상했다.
그동안 비용으로 처리했던 소프트웨어 개발 등을 올해부터 고정시설 투자로 간주하고 금융중개 서비스활동을 새로운 생산항목으로 포함하는 등 국민소득 계산 방법이 바뀌기 때문이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