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화면으로
[기획특집] 경북형 청년일자리 정책의 정착 시급하다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밴드 공유하기
  • 인쇄하기
  • 본문 글씨 크게
  • 본문 글씨 작게
정기후원

[기획특집] 경북형 청년일자리 정책의 정착 시급하다

(1)청년자원 희소화로 지방소멸위기 직면할 경상북도

전국 17개 시도의 청년인구 감소세에 경북도 또한 청년인구의 급격한 감소세로 지방소멸의 위기가 우려되고 있어 프레시안은 경북도의 청년인구 현황에 기초한 청년정책 전반을 진단해 본다.
(1)청년자원 희소화로 지방소멸위기 직면할 경상북도
(2)민선 7, 경북도의 청년 정책 어떻게 추진되나?
(3)경북형 청년 일자리 정책의 방향성과 지향 점은?
ⓒ2018 행정안전통계연보
우리나라가 고령화 사회로 빠르게 접어들고 있는 가운데 경북도 또한 평균연령이 전국 최상위권으로 높아지고 있어 경북도의 체계적인 청년(15~39) 육성 계획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2018 행정안전통계연보에 경북도의 평균연령은 2017년 기준 43.6세로 전남 45세에 이어 두 번째로 전국평균 연령 41.5세보다 2.1세 높으며 세종, 울산, 광주, 경기 등 광역지자체 평균 36.7~39.8세 대비 최대 6.9세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

더욱이 청년인구 비율이 30% 이하인 지역은 강원(29.8%), 전남(28.3%), 경북도(29.4%) 3개 광역도 뿐이며 그 가운데 경북은 전남 다음으로 낮은 최저 수준으로 전국 평균치 33.5%보다 4.1%p, 서울 36.3% 대비 6.9%p 낮았다.
ⓒKOSIS

더 심각한 것은 경북도의 청년인구 감소세가 전국 총인구 대비 청년인구 감소세보다 더 가파르다는데 있다.

전국의 청년인구는 200918992079명에서 201717173983명으로 약 9.6% 감소했지만 경북도의 청년인구는 같은 기간 918503명에서 786339명으로 약 14.4%, 전국 평균 대비 4.8%p 크게 감소했다.


전국 총인구 대비 청년인구 비율에서도 전국은 지난 200938.2%에서 201733.5%로 약 4.7%p 감소한 반면 경북도는 같은 기간 34.4%에서 29.4%로 약 10%p 감소했으며 전국 평균 감소율 12.3%2.2%p 뒤진 14.5%를 나타냈다.

ⓒKOSIS
이 같은 분석에 견주어 전국의 청년인구는 2020년부터 2045년까지 약 600만 명, 38.6%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지만 경북도는 30만 명 이상, 46.1%가 감소할 것으로 청년인구 감소율이 심각할 것으로 분석됐다.

전국의 청년인구 비율 감소세보다 훨씬 빠른 경북도의 감소세는 청년인구의 희소화로 최근 몇 년 동안 지속 제기된 지방소멸의 위기를 가져올 것이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지난 2017년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경북도의 총 인구수에서 청년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은 29.4%로 경북도내 23개 시·군 가운데 29.4%보다 높은 지역은 포항(31.1%), 구미(38.6%), 경산(33.3%), 칠곡군(34.8%) 4곳에 불과했다.

지방소멸위기가 거론되며 청년인구비율이 10%대를 기록한 곳은 군위(17.9%), 의성(17.2%), 청송(19.2%), 영양(18.7%), 영덕(19.3%), 청도(19.3%), 봉화군(19.0%) 7개 군 지역으로 이 가운데 의성군이 시군 중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
ⓒ국가통계포털
청년층의 '수도권 지향 탈 경북' 현상 또한 지속 증가됐는데 지난 2010년부터 2017년까지 경북도내 15~39세 인구이동은 서울, 경기로의 유출이 가장 많았는데 이는 교육과 취업 등 경제활동 문제에서 수도권 지향의 유출이 많은 것으로 분석됐다.

이는 경북의 실업률이 전국 평균대비 매년 낮은 수치를 기록했지만 고용률이 201720대는 55.8%2015년 대비 4.3%p 감소한 반면 30대는 2.9%p 증가에 그치는 등 15~29세 고용률이 전국 고용률 41.2%보다 1.8%p 낮은데서 증명됐다.

이 같은 현상은 경북도가 정부의 청년정책에 더해진 특단의 정책대안을 제시하지 않는다면 전국에서 가장 빠른 지방소멸의 위기를 맞는 지자체가 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는 가장 큰 이유로 작용하고 있다.

또 지역실정을 잘 아는 지역청년이 지역에 더 많이 정착할수록 지역발전을 촉진시킬 것으로 지역청년의 정착과 역외청년을 유입시키는 관련 정책의 적극 개발과 시행이 요구되는 궁극적인 이유로 분석됐다.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매번 결제가 번거롭다면 CMS 정기후원하기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kb국민은행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프레시안에 제보하기제보하기
프레시안에 CMS 정기후원하기정기후원하기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