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글로벌 국내 채권단이 SK글로벌 지원과 법정관리형 청산의 갈랫길에서 최후의 관문으로 삼은 해외 채권단과의 3차 협상이 하룻만에 결렬로 끝난 것으로 알려졌다.
10일 채권단에 따르면 전날부터 홍콩에서 열린 해외 채권단과 3차 협상을 벌였으나 캐시 바이 아웃(채권 현금 매입) 비율에 대한 의견 차이가 너무 커 대화가 중단됐다.
***해외채권단, "72% 돌려달라"**
국내 협상단은 전날 밤 늦게까지 협상을 벌였으나 해외 채권단이 캐시 바이 아웃 비율을 국내 채권단이 제시한 40%보다 배 가까이 높은 72% 이상을 고집해 협상 자체가 불가능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따라 채권단은 해외 채권단이 채무재조정안을 수용하지 않으면 법정관리를 신청하기로 한 계획에 따라 다음주 채권단 회의를 열고 이 문제를 논의할 예정이다.
채권단은 앞으로도 협상 창구는 열어 두겠지만 일단 법정관리 신청 절차를 진행키로 하고 내주초인 14일께 운영위원회를 열어 법정관리 신청을 논의한다는 방침이다.
***소액주주들도 SK글로벌 지원 반대**
SK(주) 지분 30%를 보유한 것으로 추정되는 소액주주들도 SK글로벌 지원을 강행할 경우 SK 경영진 교체도 불사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SK 소액주주연합회는 10일 SK글로벌에 대해 무리한 지원에 나선다면 최대주주인 소버린, 기타 외국 주주와 연대해 임시주총을 소집 해 경영진을 교체할 방침을 선언했다.
소액주주들은 “SK글로벌이 EBITDA(감가상각과 이자 차감전 영업이익) 4천5백억원을 달성하려면 SK(주)가 무리한 부당지원을 할 수밖에 없다”며 반대입장을 밝혔다.
***외신들 시선도 싸늘**
해외 투자자들의 시각도 SK글로벌 사태에 대해서는 냉담하다.
모건 스탠리의 경제분석가인 앤디 시에는 영국의 파이낸셜타임스(FT)와의 인터뷰에서 SK글로벌을 겨냥해 “현재 한국이 직면한 경제적 어려움은 구조개혁 실패에 뿌리가 있다”면서 “정부가 기업구조개혁을 완성하지 못했으며 ‘재벌문화’가 기업가치를 스스로 떨어뜨리고, 경제를 취약하게 만들고 있다”고 신랄하게 비판했다.
FT에 따르면 현재 한국의 재벌은 수출의 60%, 외화수입의 70%를 차지할 정도로 여전히 한국 경제의 심장부다. 1997년 외환위기 후 한국은 기업개혁을 추진해 부채비율 하락, 사외이사 선임 등 의사결정구조 향상, 수익률 개선 등 일부 성과를 거뒀지만 추가적 과제를 남겨둔 채 멈춰 버렸다.
무엇보다도 기업오너들이 아직도 가족관계를 기반으로 재정적 사업적 지원을 주고받고 있으며, 이때문에 부실기업들이 건전한 계열사에 기대어 살아남고 있다. 증권거래소에 상장된 기업중 24%가 순이익으로 이자도 갚지 못하는 상황이다. 이는 국제통화기금(IMF) 이 최근 조사한 21개국 중 가장 낮은 수준이다.
FT는 “SK그룹의 회계부정사태는 한국재벌이 계열사를 부실자산을 숨기는 ‘쓰레기통’ 으로 이용하고 있다는 점을 보여줬다”면서 “세계적인 회계법인 ‘프라이스워터하우스쿠퍼스’가 지난 해 35개국을 대상으로 조사에서 한국의 회계기준은 최하위로 판정했다”고 전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