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일보에 이어 조선일보도 한나라당의 방송개혁안을 적극지지하며, KBS와 MBC야말로 진정으로 개혁이 필요한 어용방송이라고 맹성토하고 나서 파문을 증폭시키고 있다.
***조선일보, "KBS와 MBC가 개혁 필요한 곳"**
조선일보는 21일 '개혁이 필요한 곳은 방송이다'라는 사설을 통해 "KBS2 텔레비전과 MBC를 민영화하고 신규 채널을 허용하는 한편, KBS 수신료를 폐지하자는 한나라당의 방송개혁안은 현 공영방송 체제를 근본적으로 재편하자는 요구"라며 "지금 방송의 상황은 이같은 개혁안이 등장할 정도로 공정성과 공공성이 위기에 처해있다"고 주장했다.
조선일보는 이어 "지금 거대 공영방송 KBS와 MBC의 주인은 과연 누구인가"라고 반문하며 "대통령과 ‘코드가 맞는’ 사람이 사장이 되어 대통령 선거때 현 대통령의 후원 모임인 ‘노사모’의 핵심으로 활약했던 인사를 민감한 프로그램의 진행자로 발탁한 곳이 공영방송"이라며 정연주 KBS사장 등을 겨냥해 직격탄을 날렸다.
조선일보는 또 "오늘의 방송 문제의 핵심은 누가 대통령에 당선되든 그 순간부터 방송이 그 대통령의 이념과 정파적 이해에 따라 이리 쏠리고 저리 기울어지는 행태를 되풀이하는 것을 막을 장치가 없다는 데 있다"며 "권력의 입맛에 맞는 권영(權營)방송, 노조가 좌지우지하는 노영(勞營)방송이란 말이 떠돌아다니는 것이 어제오늘 일이 아니다"라고 주장했다.
조선일보는 "국민의 재산인 공중파의 90%를 독과점하고 있는 거대 공영방송이야말로 현 정부가 그토록 관심을 두고 있는 언론 개혁이 이뤄져야 할 곳"이라고 주장한 뒤 "(방송개혁안은) 공영 방송의 민영화, 신규 방송사의 방송시장 진입 허용 등 현 방송체제에 대한 수술을 통해 방송 편성과 운영에 대한 정부의 일방적인 통제를 차단하고, 방송이 우리 사회 공동의 가치관을 반영하는 기조 위에서 다양한 시각을 공정하게 담아낼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이어야 한다"는 주장으로 끝을 맺었다.
***한국-대한매일, "한나라당의 정치적 음모"**
반면에 한국일보와 대한매일신문 등은 한나라당 개혁안속에 숨겨진 '정치적 동기'에 의문을 제기하는 비판적 사설을 게재했다.
한국일보는 이날 '왜 지금 공영방송 민영화인가'라는 사설을 통해 "(한나라당의) MBC, KBS-2TV 민영화론을 원론적 차원의 주장이라고는 보기 어렵다"며 "현실적으로 한나라당이 노무현 정부와 방송사를 동시에 압박하려는 정치적 의도가 엿보이는, 또다른 언론개혁 주장처럼 보일 수 있다"고 비판했다.
한국일보는 이어 "MBC와 KBS-2TV를 민영화할 경우 공영성 강화가 이뤄진다는 보장은 없다"며 "반대로 상업주의의 강화로 프로그램의 질만 추락할 가능성이 더 많아 보인다"고 주장했다.
대한매일신문도 이날 '한나라당 방송개혁안 문제있다'는 사설을 통해 "이 개혁안은 다분히 정략적인 차원에서 마련된 것이 아닌가 한다"며 "이는 방송 전체의 개혁을 위한 것이라기보다 내년 총선과 차기 대선을 겨냥한 정치적인 고려에서 나온 발상이라는 의심을 지울 수 없다"고 주장했다.
대한매일은 이어 신문-방송 겸업 허용 주장과 관련해서도 "그렇잖아도 한국신문시장은 일부 족벌언론이 막대한 자본을 바탕으로 하여 불법적인 방법까지 동원해 시장을 독식하고 있는 실정"이라며 "여기에 방송까지 보태진다면 여론 과점 현상을 더욱 심화시켜 공정하고 다양한 여론 형성은 불가능하게 된다"고 지적했다.
대한매일은 "국민이 주인인 공중파 방송의 개혁은 한 정당 차원의 논의에 그칠 것이 아니라 공청회 등 국민적인 합의를 이끌어내는 다양한 여론수렴과정을 거쳐야 마땅하다"고 주장했다.
이같이 각기 다른 시각차에서도 확인할 수 있듯, 한나라당의 '하순봉 방송개혁안'을 계기로 촉발된 논란은 앞으로 언론개혁을 둘러싼 치열한 공방으로 비화할 전망이다.
다음은 조선일보의 21일자 사설 전문.
***改革이 필요한 곳은 방송이다**
KBS2 텔레비전과 MBC를 민영화하고 신규 채널을 허용하는 한편, KBS 수신료를 폐지하자는 한나라당의 방송개혁안은 현 공영방송 체제를 근본적으로 재편하자는 요구다. 지금 방송의 상황은 이같은 개혁안이 등장할 정도로 공정성과 공공성이 위기에 처해있고, 현재의 방송 체제를 이대로 끌고 갈 것이냐의 여부는 언론 차원을 넘어 사회적·정치적 쟁점이 돼버렸다.
방송은 공공의 재산인 전파를 사용하고 있는 만큼, 민영이든 공영이든, 뉴스건 교양·오락 프로그램이건 그 사회의 기저에 놓인 공동의 가치관을 반영하고 강화하는 방식으로 운영되어야 한다. 그러나 지금 거대 공영방송 KBS와 MBC의 주인은 과연 누구인가. 대통령과 ‘코드가 맞는’ 사람이 사장이 되어 대통령 선거 때 현 대통령의 후원 모임인 ‘노사모’의 핵심으로 활약했던 인사를 민감한 프로그램의 진행자로 발탁한 곳이 공영방송이다.
오늘의 방송 문제의 핵심은 누가 대통령에 당선되든 그 순간부터 방송이 그 대통령의 이념과 정파적 이해에 따라 이리 쏠리고 저리 기울어지는 행태를 되풀이하는 것을 막을 장치가 없다는 데 있다. 1년 전 서해 교전 때 우리 어부들의 월선(越線)이 북의 도발을 불렀다는 무책임한 보도를 한 것도 바로 공영방송이다. 권력의 입맛에 맞는 권영(權營)방송, 노조가 좌지우지하는 노영(勞營)방송이란 말이 떠돌아다니는 것이 어제오늘 일이 아니다.
국민의 재산인 공중파의 90%를 독과점하고 있는 거대 공영방송이야말로 현 정부가 그토록 관심을 두고 있는 언론 개혁이 이뤄져야 할 곳이다. 한나라당의 방송개혁안이 자신의 정파적 이해만을 반영하는 데 그쳐서는 안 된다. 공영 방송의 민영화, 신규 방송사의 방송시장 진입 허용 등 현 방송체제에 대한 수술을 통해 방송 편성과 운영에 대한 정부의 일방적인 통제를 차단하고, 방송이 우리 사회 공동의 가치관을 반영하는 기조 위에서 다양한 시각을 공정하게 담아낼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이어야 한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