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지구물리·물리탐사학회(이하 연구조사단)는 지난 24일 오후 2시 서울대에서 '포항 영일만 CO2 저장실증 연구사업'이 포항지진의 원인이 될 수 없다는 연구결과를 공식 발표했다.
지진 관련 석학인 조백(Zoback) 스탠포드대 교수의 검증을 받은 이 연구결과의 요지는 "영일만 CO2 주입행위가 포항지진과 관련 없다"는 것으로 향후 이 사업의 재개여부에 중요한 판단기준으로 전망됐다.
또 "수치모델링 연구 결과, 시험 주입에 의한 유체 압력의 증가는 지역 내 여섯 개의 단층면 모두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며 2만톤을 넣어도 문제가 되지 않을 것"이라는 발표를 더했다.
이와 함께 "국내 여건에 적합한 지질학적인 이산화탄소 저장에 대한 관련 기술의 확보를 위해 포항 영일만 연구 사업의 재개를 제안한다"고 밝혀 향후 포항시민들의 여론이 이를 수용할 지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이에 대해 산업부는 "안정성과 주민 수용성, CCS를 통한 온실가스 감축목표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후 사업의 계속 추진여부를 검토, 결정할 것으로 지역과도 충분히 협의할 것"이라며 사업재개에 대한 확실한 답변을 아꼈다.
연구조사단과 산업부의 이같은 발표에 포항11.15지진범대위는 "이는 단순한 포항지진과의 연관성 조사일 뿐 향후 일어날 수 있는 지진유발과 환경오염, 누출시 질식사의 위험성은 전혀 언급하지 않고 있다"며 강하게 반발했다.
또 "美 조지메이슨대 엘리자베스 팔포막 박사는 ‘CCS는 지진유발, 수질오염, 환경피해, 질식사고 가능성으로 과학적 연구보다 탄소격리의 위험성을 알려야 한다’는 논문을 발표했고, 서울대 김준모 교수도 지표유출에 의한 인간과 생태계 위협, 지하수 자원 고갈, 토양 및 지하수 오염, 지반 융기 및 지진 유도 등의 위험성을 경고한 바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외 美 스탠퍼드대 마크 조백 교수 연구진과 육군사관학교 오경두 교수 등 학계에서는 CCS의 위험성을 이미 여러차례 경고했고 선진국인 독일, 네덜란드 등에서도 대중의 수용성을 확보하지 않고 사업을 추진하다가 사업이 좌초된 사례가 있다"고 덧붙였다.
범대위 관계자는 “최근 동해안 해저에서 4.0이상의 지진이 자주 발생하고 있어 지진발생에 따른 주민불안 해소를 위해 검증되지 않은 실증사업인 CCS시설에 대해 시민의 안전이 최우선이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산업통상자원부에서는 시민 수용성 없이 추진한 CO2지중저장시설을 즉시 폐쇄조치 하고 반드시 원상복구 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