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는 김경수 지사가 연초 기자회견 때 도민에게 밝힌 바와 같이 "공공건축가제도를 도입하겠다"는 후속절차로 해석된다.
공공건축가 제도는 특별시·광역시와 달리 광역도 단위에서는 경상남도가 최초로 시행하는 것으로 기초 지자체로의 파급 효과가 상당할 것으로 보인다.

▲박환기 도시교통국장이 기자회견을 하고있다. ⓒ프레시안(조민규)
이에 경상남도는 공공건축물 사업 초기단계인 기획·설계부터 민간의 전문성을 적극 활용해 행정기관의 전문성을 보완하고 도시전체를 바라보는 통합적 시각에서 비롯됐다.
이른바 지역 내 개별 공공건축물 디자인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총괄건축가와 공공건축가를 위촉해 이들을 적극 활용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도는 공공건축의 자문과 디자인·기획·설계 등을 담당할 역량 있는 민간전문가(건축가 등) 25명을 '공공건축가'로 선정하고 6월 중 위촉식을 시작으로 본격적인 활동을 시작할 예정이다.
공공건축가는 지역별로 경남 14명과 서울 등 타 지역 11명이 선정됐다.
직업별로는 건축사가 18명이고 대학교수가 7명이며 남성이 17명, 여성이 8명이다.
특히 3~40대 젊은 여성 건축가가 대거 선정됨으로 신진건축가 발굴과 육성환경을 마련했다.
공공건축가는 개별 공공건축사업의 기획, 설계, 시공, 유지관리 단계에 이르는 사업 전 과정에 민간전문가로 참여해 공공건축물의 품질과 품격을 높이고 도시 환경을 개선해 도시 경쟁력과 도시 브랜드 가치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 올 상반기에 발주하는 공공건축물에 대해 시범실시 후 전 시·군으로 확대 실시할 예정이다.
시범사업은 창원시 의창구 대원동 한국산업단지공단 내에 위치한 ▲사회적 경제 혁신타운 ▲진주시 충무공동 경남혁신도시 내의 '경남혁신도시 복합혁신센터' ▲경남혁신도시 복합문화도서관 등 총 3곳이다.
박환기 도시교통국장은 "경남 건축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사람 중심의 사회적 가치 발현과 디자인 품격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