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화면으로
함께 하는 시간들, 깨어나는 시간, ‘해방된 말’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밴드 공유하기
  • 인쇄하기
  • 본문 글씨 크게
  • 본문 글씨 작게
정기후원

함께 하는 시간들, 깨어나는 시간, ‘해방된 말’

광주 은암미술관, ‘함평양민학살사건의 기억 展’ 열려

함평 양민학살사건을 기억하시나요. 1950년대의 기억을 찾아 오늘에 깨우는 전시회가 열려 최근 주목받고 있는 제주 4.3사건 등 인권유린의 현장을 되돌아보게 만든다.

‘함평양민학살사건의 기억展’(Unveil Hampyeong Massacre)이 9일부터 3일 동안 은암미술관에서 열린다.

▲ 윤석우 작, Unveil Hampyeong Massacre, 2019 ⓒ은암미술관

이번 전시에는 영상 1작품, 사진 27점, 그리고 함평양민학살사건 생존자 및 유가족 14명의 증언을 담은 프로젝트북이 출간된다.

‘함평양민학살사건의 기억’ 프로젝트는 지난 2월부터 장종석, 이금남씨 등 생존자 인터뷰, 카카오같이가치 클라우드펀딩, 스노우볼링, 유튜브 채널 ‘TV 학림' 증언인터뷰 업로드 등으로 진행돼왔다.

카카오같이가치에서는 댓글 1205개, 응원 3717개로 많은 분들이 함께 해 주었다. 외할머니가 화순에서 겪은 양민학살 이야기를 한 댓글도 있었다.

프로젝트북에는 오른쪽 다리 복숭아뼈에 총을 맞고 살아난 장종석씨, 17세에 사건을 겪은 이금남씨 등의 증언이 담겨있다.

이금남씨는 당시 17세였는데 해보면 모평마을 쌍굴에서 일어났던 일은 듣고서도 믿기 힘들 정도였다고 한다.

‘함평양민학살사건의 기억’ 프로젝트는 백은하의 소설집 <의자>에 실려 있는 단편소설 ‘귀향’을 모티프로 출발한다.

이번 프로젝트의 총괄 디렉팅을 맡은 백은하 작가는 “저도 H탐사 아티스트들도, 그리고 생존자 여러분들도, 두려움을 극복해 가면서 한 걸음 한 걸음 앞으로 나아갔다. 우리 DNA 속에 이데올로기에 대한 두려움과 공포가 뼛 속 깊이 박혀 있다는 것을 다시 한 번 깨닫는 시간들이었다.”고 말했다.

‘함평양민학살사건’은 1950년 12월 6일부터 1951년 1월 14일까지 전남 함평군 월야면, 나산면, 해보면 등 3개면에서 국군이 민간인을 총으로 쏜 집단학살사건이다.

확인된 희생자만 1,277명으로 ‘함평양민학살사건’의 진실규명이 제대로 이뤄지지 못해 생존자들과 유가족들은 70여년의 세월동안 고통받으며 살아왔다.

백은하 디렉터는 “이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함평양민학살사건 생존자분들의 증언뿐만이 아니라, 광주에서 살고 있던 많은 분들이 자신들의 가족사를 이야기해 주었다. 1949년부터 1951년까지 보도연맹사건과 양민학살에 연관돼 있는 가족들이 얼마나 많을까 싶었다. 나주동창, 무안, 영광, 화순 등에서도 양민학살이 일어났다는 것을 알았다. 이번 전시가 망각에서 깨어나 역사의 진실을 기억하고, 더 많은 말들이 세상으로 나오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백은하, 정위상무, 박정현, 윤석우, 이승호가 전시에 참여한다. 전시 오프닝은 9일 오후 4시다.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매번 결제가 번거롭다면 CMS 정기후원하기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kb국민은행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프레시안에 제보하기제보하기
프레시안에 CMS 정기후원하기정기후원하기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