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시가 "진행여부조차 몰랐다"고 발뺌한 '포항 영일만 이산화탄소(CO2) 지중 저장 실증 사업'의 중단여부가 오는 5월말경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일 "포항 CO2 저장사업의 중단여부는 현재 지진유발 관련성 및 안전성에 대한 전문가 조사가 진행 중으로, 이를 바탕으로 관련절차를 거쳐 5월말 최종 결정될 예정이다"고 밝혔다.
현재 포항 CO2 저장사업 플랫폼은 지난 2017년 11월 15일 포항지진 여파로 가동이 중단됐고 포항시는 "지진을 일으킬 수 있다"며 정부에 폐쇄 및 철거를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CO2 지중저장은 지열발전과 달리 지진촉발위험이 확률상의 희박한 사업인데 포항시가 내용도 모르고 시민들의 여론몰이로 성급하게 철수를 주장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관련업계는 "국제학술지 등에 따르면 CO2 지중저장시설의 유발지진은 사람이 느낄 수 없는 2.0 규모 내외이며 포항 영일만에 매립된 100t 이하 유체와 같은 경우는 1.1 규모 미만의 미소지진만 보고됐다"고 설명하고 있다.
또 "지열발전의 경우는 시추 깊이가 4~5km이지만 지중 저장시설은 2km 이내의 앝은 지층이기에 이 깊이에서는 구조적으로 2.0 규모 이상의 지진은 발생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이는 포항시가 최근 일부 언론을 통해 집중 제기하고 있는 "지중 저장시설의 탄소가 지층에 자극을 줘 지진을 유발할 수도 있다"는 주장에 정면 배치되는 것으로 거의 지진의 가능성이 없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포항시의 성급한 판단은 세계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CO2 포집 및 저장(capture and storage, CCS)기술의 국내개발을 막아서는 우(愚)를 저지를 수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정부는 국내 CO2 포집기술과 연계된 CO2지중저장시설 상용화 촉진 기반 마련을 위해 지난 2011년 국내 최초로 포항에서 실증사업을 추진했다.
지난 2010년 7월 정부는 '국가 CCS 종합 추진계획'을 확정해 2017년부터 연간 100만 톤씩 CCS 기술을 이용해 이산화탄소를 처리하기로 함에 따라 포항에서 실증사업을 추진해 온 것이다.
세계 5~6위권인 것으로 추산되는 국내 온실가스 배출량 등을 고려하면 온실가스 의무감축국의 가능성이 큰 상황에 정부의 선택은 불가피했던 것으로 판단되고 있다.
이와 함께 정부는 CCS 기술과 관련해 오는 2030년 2조6000억 원 규모의 경제적 효과와 4만개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는 확고한 녹색 신성장동력으로 전망했었다.
이런 상황에 견주어 포항시의 CO2 저장사업 플랫폼 철수요구는 성급한 것 아니냐는 지적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더욱이 포항시는 포항제철소와 현대제철 포항공장 등 제철산업이 근간산업으로 CO2 감축이 당면과제로 대두된 지 오래이기 때문이다.
관련업계 관계자는 "정부의 CO2지중저장시설에 대한 지진유발 관련성 및 안전성에 대한 전문가 조사가 마무리 시점일 것으로 포항시는 그 결과를 보고 결정해도 충분한 상황이다"고 조언했다.
이어 "성급한 여론몰이로 국가의 백년대계와 포항시의 신성장동력 창출을 한꺼번에 그르칠 수 있는 경거망동은 절대 지양해야한다"며 포항시의 진중한 자세를 당부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