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대북 특사 파견을 통한 4차 남북 정상회담을 타진하고 있지만 북한에서 아직 이에 대한 답을 주지 않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톱다운 대화에 긍정적인 메시지를 보내면서도 비핵화 협상의 내용을 둘러싼 이견이 좀처럼 거리를 좁히지 못한 결과로 보인다.
김연철 통일부 장관은 17일 서울 중구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열린 통일연구원 개원 28주년 학술회의 축사를 마친 뒤 기자들과 만나 대북 특사를 북한에 제의했으나 북한에서 대답이 없는 상황이냐는 질문에 "여러가지로 검토하고 있다"며 "정리되는대로 말씀드리겠다"고 밝혔다.
여러 가지로 검토한다는 것이 어떤 의미냐는 질문에 김 장관은 "통일부 안에서도 여러 논의를 하고 있고 내일 NSC(국가안전보장회의) 상임위원회도 열리고 (하기 때문에) 충분히 검토하고 나서 말씀드리겠다"고 답했다.
앞서 이날 <한국일보>는 외교 소식통을 인용, 정부가 한미 정상회담 전에 북한에 대북특사 파견 등 고위급 대화 가능성을 타진했으나 북측이 회신하지 않아 성사되지 않았다고 보도했다. 이 소식통은 "남북 간 물밑 접촉이 전혀 이뤄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결국 대통령의 공개 제안으로 대화 요구 수위를 높인 것"이라고 전했다.
앞서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15일 "남북 정상회담을 추진할 여건이 마련됐다"면서 "북한의 여건이 되는대로 장소와 형식에 구애되지 않고 남과 북이 마주앉아 두 차례의 북미 정상회담을 넘어서는 진전된 결실을 맺을 방안에 대해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논의를 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공개 제안했다.
문 대통령의 제안 뒤 이틀이 지나도록 북측으로부터 이렇다할 답변을 얻지 못한 정부는 답답한 기색이 역력해 보인다. 실제 북한은 2차 북미 정상회담 결렬 이후 개성에 위치한 남북 공동연락사무소의 근무 인원을 한때 철수시켰다가 다시 복귀시키는 등 남한과 대화에 소극적인 모습을 보여왔다.
정부는 대북 특사와 관련해서도 북한의 응답이 있었는지 구체적으로 대답하지 않고 있지만, 그간 북한의 태도를 고려했을 때 북한 측으로부터 분명한 답을 듣지 못했을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남북 정상회담 1주년인 오는 27일 전후로 기획되고 있는 기념 행사 역시 북한으로부터 아직 명확한 답이 오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김 장관은 이와 관련 "여러가지 준비하고 있는데 조만간 발표하게 될 것"이라면서도 북한과 이야기되는 사항이 있냐는 질문에 "아직까지는 뭐"라며 즉답을 피했다.
정부는 북한에 대북 특사를 보내 정상급 차원에서 대화를 실시한다는 기존 방침을 유지할 계획이다. 김 장관은 북한에 고위급회담을 제안한 적 있냐는 질문에 "지금은 남북 정상회담을 제안한 상태이기 때문에 조금 큰 틀에서 논의를 하고 그리고 나면 자연스럽게 실무적인 문제를 논의할 수 있는 순서가 정해지지 않겠나"라고 답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