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TF보고회는 제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이하여 학교단위에서의 과학교육의 혁신 방안과 경상남도과학교육원의 역할 재편성 방안 모색을 위해 마련됐다.

ⓒ경남교육청
이날 보고회는 김용진 경상대 생물교육학과 교수의 '학생과 교수가 행복한 과학수업'을 주재로 한 특강에 이어 TF 결과보고회, 학교 단위에서의 과학 교육의 혁신 방안과 경상남도과학교육원의 역할 재편성 방안 순으로 진행됐다.
학교단위의 과학교육 혁신 방안으로는 학생 참여중심의 과학 수업 혁신, 창의융합형 과학실 구축 확대, 학교내 무한상상실 구축, 교과연계 메이커교육 등의 방안이 제시됐다.
경상남도과학교육원의 혁신 방안으로는 공간혁신, 수업혁신, 연구문화조성, 참여기회 확대 등 4개 분야에서 전문적 학습공동체 세미나실, 학생동아리 Open Lab, 진로탐색, 책 처방 공간, 과학 카페, 교직 단계별 맞춤형 연수, 현장 과학교육 실천가 발굴, 국내 유일의 화석 노두 활용 연구, 축제형 과학대회, 교원과 학생이 함께 하는 R&E장 마련 등 종합적인 방안이 제시됐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