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화면으로
[포토스토리] 그는 알았다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밴드 공유하기
  • 인쇄하기
  • 본문 글씨 크게
  • 본문 글씨 작게
정기후원

[포토스토리] 그는 알았다

[포토스토리] 여성인권운동가 김복동의 노제와 영결식

그는 알았다. 무엇이 옳은지를, 무엇이 맞고, 무엇이 마땅하고, 무엇이 당연한지를. 무엇이 하지 말아야 할 것이고, 무엇이 해야할 것인지, 무엇이 부끄러움이고 무엇이 죄인지를... 잃어버린 것이 무엇이고, 그것을 어디에서 찾아야 하는지를 그는 다 알고 있었던 것 같다.

알았을까 우리는. 알던 길대로 걸었을까.

어쩌면 일본군 성노예 문제와 그것에서 파생된 일들은 위안부 대 일본 정부라는 단순한 프레임의 전쟁 범죄로만 생각할 문제가 아닐지도 모른다. 인간과 인간의 일, 존엄과 존중의 문제, 국가와 개인에 대해 생각하게 하는 문제로 여길 수 있지 않을까. 비록 작다고 해도 우리의 일상에도 다른 누군가에게 저지르는 잘못들이, 소수자와 '피해자'들에게 행해지는 냉대와 편견이 없다고 말하기는 어렵다. 전쟁의 그것과 일상의 그것이 그리 멀지 않음을 그는 알고 있지 않았을까. 오랜 시간이 지나도 이와 같은 일들이 그저 '과거'에만 파묻혀 있지 않아야 할 이유다.

여성인권운동가 김복동은 숙제를 남기고 떠났다. 1일 오전 노제와 영결식이 서울 광화문일대에서 열렸다. 1000여명의 시민이 소녀상 소녀의 얼굴로 자리를 메웠다. 그 풍경을 담았다.



▲ 1일 오전 고 김복동 할머니의 노제가 서울 광화문 일대에서 치러졌다. ⓒ프레시안(최형락)


▲ 병석에 누운 그는 나비가 되어 훨훨 날고 싶다고 말했다고 한다. ⓒ프레시안(최형락)


▲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피해자 대 일본 정부로만 국한해 보는 것이 좋을까. 피해자들이 목소리를 내는데는 크나큰 용기가 필요했다. 많은 사람들이 이들을 부끄러워했다. 당시의 사회가 그랬다. 과거의 정부는 피해자를 치부로 여기고 억누르기까지 했다. 우리의 사회는 우리 주변의 또 다른 '피해자'들에게 어떠한가. 이 사회 안에는 '일본 정부'와 같은 가해자가 없는가. 과거의 사회보다 지금의 사회는 과연 얼마나 더 나아졌을까 ⓒ프레시안(최형락)


▲ '진실이 이길 것이다', '그녀의 목소리는 살아 있다' ⓒ프레시안(최형락)


ⓒ프레시안(최형락)


▲ 수요시위가 열리던 자리에 노란 나비가 가득하다. ⓒ프레시안(최형락)


▲ 소녀상의 눈빛이 깊어 보인다. ⓒ프레시안(최형락)


▲ 김복동 할머니의 영정이 환하다. ⓒ프레시안(최형락)


▲ 소녀상의 얼굴을 한 1000여명의 시민들이 영결식을 메웠다. ⓒ프레시안(최형락)


ⓒ프레시안(최형락)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매번 결제가 번거롭다면 CMS 정기후원하기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kb국민은행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프레시안에 제보하기제보하기
프레시안에 CMS 정기후원하기정기후원하기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