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계열사 연구직에서도 직업병 사망자가 발생했다. 삼성 직업병은 그간 생산직에서 주로 나타났다. 그러나 연구직도 산업재해에서 안전하지 않았다. 과학기술 연구 환경을 점검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위험 물질을 다루는 대학, 기업, 공공기관 실험실 등의 안전 관리가 허술하다는 지적은 종종 나왔었다.
31일 '반도체 노동자의 건강과 인권지킴이 반올림'에 따르면, 삼성SDI 선임연구원 황 아무개 씨가 지난 29일 서울성모병원에서 사망했다. 대학에서 화학을 전공한 황 씨는 2014년 5월부터 삼성SDI 수원사업장에서 선임연구원으로 일했다. 삼성반도체 공장에서 쓰는 식각용 화학물질을 개발했다. 식각이란, 반도체 웨이퍼에서 필요한 부분만 남기고 나머지 부분을 제거하는 작업이다. 그리고 2017년 12월, 황 씨는 급성골수성백혈병 진단을 받았다. 이후 그는 서울성모병원에서 항암 치료와 골수 이식을 받았다. 그는 지난해 3월 근로복지공단에 산업재해 요양 급여 신청을 했다. 그러나 공단 측은 지금껏 응답이 없다. 황 씨는 지난 19일 중환자실로 옮겨졌고, 지난 29일 오후 사망했다.
반올림에 따르면, 황 씨는 연구실에서 벤젠, 포름알데히드 등 발암물질에 지속적으로 노출됐다. 안전교육도 제대로 받지 못했으며, 보호구도 지급받지 않았다. 코를 찌르는 냄새가 나고 약액이 튀는 환경인데, 환기도 제대로 되지 않았다.
삼성 측은 지난해 11월 직업병 피해자에 대한 보상을 약속했다. 그러나 보상 대상은 '반도체·LCD 생산라인'에서 일했던 이들로 한정됐다. 하지만 생산라인이 아닌 연구실에서 근무했던 이들, 또 반도체·LCD가 아닌 분야에서 일했던 이들 가운데서도 직업병 피해자가 대거 발생했다. 삼성SDI 선임연구원 출신인 황 씨와 같은 경우다. 반올림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기준으로 삼성의 전자 분야 계열사 노동자 450명이 직업병 피해 제보를 했다. 이 가운데 삼성 반도체·LCD 부문에서 일했던 이들은 317명이었다. 나머지 113명은 보상 대상에서 제외된 셈이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