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서울 답방 여부에 대한 명확한 답을 주지 않고 있다. 지난달 30일 문재인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한미 정상회담에서 김 위원장의 서울 방문을 언급하며 "한반도 평화 정착을 위한 노력에 모멘텀을 제공할 것"이라고 공감대를 모은 지 일주일째 이어지는 침묵이다.
조명균 통일부장관은 7일 국회에서 열린 외교통일위원회 전체회의에서 "9월 평양 공동선언에서 합의한 대로 가급적 연내에 답방하는 방향으로 북쪽과 협의해 오고 있다"면서도 "북쪽에서 구체적인 답은 주지 않고 있는 상황"이라고 했다.
조 장관은 김 위원장의 답방 시기가 17일 전후가 될 것이란 관측에 대해선 "정해진 것이 없다"며 "구체적 일정에 대해 북쪽에서 의사를 밝혀온 부분이 없기 때문에 기다려봐야 할 것"이라고 했다.
다만 조 장관은 김 위원장의 답방 가능성을 묻는 더물어민주당 추미애 의원의 질의에 "구체적으로 표현하기는 쉽지 않지만, 가능성이 있다는 쪽으로 더 보고 있다"고 했다.
이날 천해성 통일부 차관과 전종수 북한 조국평화통일위원회 부위원장 간 남북 공동연락사무소 소장회의가 열렸으나, 이 자리에서도 김 위원장 답방과 관련된 논의는 없었다고 통일부는 밝혔다.
김 위원장의 답방과 관련한 갖은 추측이 나오고 있지만, 북한의 침묵 속에 청와대도 구체적인 계획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김의겸 대변인은 이날 기자들에게 보낸 문자 메시지를 통해 "오후 중대발표를 하느냐는 문의가 들어오는데 그럴 계획이 없다"고 했다.
문 대통령이 전날 청와대에서 핵심 참모들을 소집해 김 위원장의 연내 답방과 관련한 긴급 회의를 주재했다는 언론보도에 대해서도 윤영찬 국민소통수석은 "대통령과 실장, 수석의 점심이 있었지만 북한 문제는 아예 거론조차 되지 않았다"고 부인했다.
김 위원장의 서울 답방뿐만 아니라 트럼프 대통령이 언급한 내년 1, 2월 북미 정상회담 개최 여부도 오리무중이다.
최근 북한의 유일한 외교적 동향은 리용호 외무상의 중국 방문이다. 미중 정상회담 뒤에 예정에 없던 리 외무상의 방중이 결정된 점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정확한 의중을 중국 측으로부터 먼저 파악한 뒤에 전략적 결정을 내리려는 게 아니냐는 해석이 나오고 있다.
방중 이틀째인 7일, 리 외무상은 왕이 중국 외교부장과 만나 북중관계 개선과 미중 정상회담 결과를 전해들은 것으로 알려졌다.
외교가에선 리 외무상이 시진핑 주석을 만날 가능성도 있다고 본다. 북중관계 개선의 상징적 계기가 될 수 있는 시 주석의 내년 방북 문제를 비롯해 대북 제재 해제와 관련한 중국의 역할에 관한 의견이 오갈 것이란 관측이다.
존 볼턴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이 연일 북한을 향해 "또 한 번의 기회가 될 것"이라며 내년 초 북미 정상회담 개최를 종용하는 가운데, 북한 역시 트럼프 대통령의 진의 파악에 주력하며 북중 관계를 비롯한 외교적 환경을 점검한 뒤에 서울 답방에 대한 결론을 내릴 것으로 전망된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