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자격증인 ‘숲 해설가’ 자격증이 일자리에 비해 너무 과다하게 배출되면서 논란이 일고 있다.
5일 산림청에 따르면 1999년 국립수목원과 국립자연휴양림 등에서 숲해설가 제도를 운영한 이후 2009년 330명의 숲해설가를 선발한 뒤 숲해설가를 본격 양성 및 운영하기 시작해 12월 현재 1만 686명이 숲해설가 자격을 취득했다.
현재 숲해설가는 ‘산림교육의 활성화에 관한 법률’에 따라 산림청장 인증 숲해설가 교육과정 운영 기관이나 공공기관, 대학 등에서 운영하는 숲해설가 교육과정을 이수한 뒤 자격시험을 통해 취득하고 있다.
12월 현재 산림청에 숲해설가 양성기관으로 인정된 법인이나 단체는 태백생명의 숲을 비롯해 서울 한국숲해결사협회 등 전국 14개 광역자치단체에 총 31개 기관에서 연간 1200여 명의 숲해설가를 배출하는 상황이다.
산림청이 밝힌 자료에 따르면 2009년부터 2013년까지 4084명을 비롯해 2014년 1334명, 2015년 1412명, 2016년 1464명, 2017년 1246명 등 매년 1200여 명이 배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태백지역의 경우 태백 생명의 숲에서 연간 2차례 운영하는 3개월 과정의 교육을 받은 뒤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으나 교육비 140만 원은 숲해설사 자격을 원하는 교육생이 부담해야 한다.
그러나 숲해설가 자격증을 취득해도 일자리가 턱없이 부족하기 때문에 자격증을 따도 취업하는 비율은 10% 안팎에 불과한 것으로 알려졌다.
숲해설가 자격증으로 태백지역에서 취업할 수 있는 곳은 태백국유림관리소에서 위탁사업을 하고 있는 태백생명의숲 6명, 태백시 수질환경사업소 2명, 유아숲해설 3명, 금강골휴양림 1명 등 12명 수준에 불과하다.
또 인근 정선군의 경우에도 4명에 불과하지만 2019년에는 군비를 지원해 4명의 숲해설가를 추가로 고용하고 정선군국유림관리소에서도 8명을 고용할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해 7월 자격증을 취득해 올 3월부터 11월까지 9개월간 산림청에서 위탁운영을 맡고 있는 태백지역의 한 숲가꾸기 단체에서 최저임금 조건의 계약직으로 근무한 A씨는 이달부터 일자리가 끊겼다.
A씨는 “숲해설가 자격증이 유망하다는 말을 듣고 140만 원을 투자해 3개월동안 교육을 이수한 뒤 자격증을 취득했지만 태백지역 전체 취업자는 10명 안팎에 불과한 실정”이라며 “숲가꾸기 자격증도 좋지만 일자리도 없이 자격증만 남발하는 것은 문제”라고 지적했다.
또 그는 “숲해설가 자리가 너무 없어 최근에는 180만 원을 들여 유아숲지도사 자격을 다시 취득했다”며 “숲해설사 자격증을 딸 때는 기대에 부풀었으나 일자리 얻기가 힘들어 한숨만 나오는 실정”이라고 토로했다.
이에 대해 산림청 관계자는 “산림복지서비스 분야 일자리 창출 및 민간시장 활성화를 위해 산림교육 치유전문가 배치를 확대할 방침”이라며 “또 관련 분야 일자리를 늘리기 위해 직접 고용방식을 민간 전문업 위탁 등으로 사업방식을 변경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국립공원공단의 경우 각 국립공원에서 숲해설사 자격증 외에 추가로 자연환경해설사 자격증을 갖춘 해설사를 고용하고 있으나 태백산국립공원의 경우 7명을 무기 계약직으로 고용하고 있다.
아울러 태백지역에서는 산림복지전문업을 할 수 있는 협동조합을 설립해 숲해설가를 추가로 고용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지만 기대만큼 일자리가 늘어날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알려졌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