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북도 경주지역 산사태 취약지 중 절반 가량이 '월성원자력발전소' 인근에 몰린 것으로 나타났다.
30일 경주환경운동연합은 성명서를 내고 "월성원전 인근에 산사태 위험지가 몰린 것으로 확인됐다"며 "정부와 지자체는 재난 발생 전 민관합동조사를 실시하고 안전대책을 수립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들 단체는 경주시가 올 6월 28일 지정 고시한 '2018년 경주시 산사태취약지역 지정공고 내역'을 바탕으로 이 같은 위험이 있다고 주장했다. 경주시는 '산림보호법(제45조)'에 따라 산사태 취약지 유형, 사업종류를 분석해 매년 홈페이지에 고시한다. 산사태로 인한 인명·재산 피해를 막을 목적이다.
올해 취약지는 진현동·천군동·하동, 감포읍 오류리·팔조리·유금리·내칠리, 양남면 나산리·상라리·석읍리·환서리, 양북면 장하리·권이리, 외동읍 구어리·녹동리·모화리·신계리·구길리·말방리 산 29곳이다.
특히 전체 41%(12곳)는 월성원전이 있는 양남면 나아리 반경 6km 안에 있었다. 앞서 6일 태풍 콩레이에 의해 발생한 산사태, 도로붕괴 지점(한수원 본사 앞 국도 4호)도 원전 10km 안에 있었다.
경주시는 해당 지역에 계류보전(산림 인근 하천 수로 정비를 통한 홍수 범람 방지 공사), 사방댐공사(홍수 시 산사태로 유출되는 토사 저지 공사) 조치할 예정이지만 불안은 쉽게 가시지 않고 있다.
작은 자연환경 변화에도 재난을 불러올 수 있는 원전이 태풍과 집중호우에 취약한 지역에 몰린 탓이다. 또 원전 배후 사면에 송전탑도 지나고 있어 산사태 발생 시 동시 붕괴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환경부가 2015년 펴낸 '통계로 본 기후 대기 환경' 자료를 보면, 남부지역 집중호우(일일 강수량 80mm 초과) 발생 일수는 1970년 8.9회에서 2000년대 19.8회로 2배 가량 늘었다. 뿐만 아니라 같은 해 발표된 '월성1호기 스트레스테스트 검증보고서'도 "월성원전 배후 사면이 시공 후 상당 기간 경과돼 사면붕괴 저감설비 기한이 종료됐다"며 "지진, 강우, 산사태 대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한 바 있다.
때문에 경주환경운동연합은 "태풍 콩레이 당시 이미 재난 취향성을 드러냈다"면서 "정부와 지자체는 민관합동조사단을 꾸려 원전 부지, 배후 사면에 대한 안정 점검을 하고 대책을 마련하라"고 요구했다.
프레시안=평화뉴스 교류 기사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