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시집에서 시인은 외롭고 쓸쓸하고 그립고 비겁한 내면의 풍경을 과장과 꾸밈이 없이 담백하게 담았다.
그러나 혼자 사는 산 생활의 고독함을 오롯이 견디는 삶의 적막한 고요에만 침잠하는 것은 아니다.
그는 시집 첫머리 ‘시인의 말’에서 “"지금부터 살기 위하여 시를 쓴다”고 고백했다.
변죽이 먼저 나아가고 중심이 옮겨가는 아메바 운동처럼, 느긋해졌다가 팽팽해졌다가를 반복하며 삶의 존재감을 묵묵히 밀고 나가는 시인의 힘이 느껴지는 대목이다.
이번 시집에서 송 시인은 ‘그리움’ 이라는 시어를 유달리 자주 사용한다.
그리움의 대상은 그러나 그때마다 달라서 좀 모호하기조차 하다.
헤어진 옛 여인, 주검으로 남은 새끼를 기다리는 어미 고라니, 부모와 자식의 질긴 인연의 끈, 지리산에서 숨진 산 사람 등 등. 그래서 어쩌면 시인의 그리움은 모든 살아있는 것들에 대한 연민으로 읽히기도 한다.
하지만 세 번째 시집을 펴낸 시인의 소감은 우선 자신의 삶의 변혁을 도모하고 있음을 엿보게 한다.
“새로운 삶의 출사표를 삼겠다는 마음으로 이번 시집을 펴냈다”
스스로가 직접 밝힌 송 시인의 자천 출판의 변이다.
다시 ‘삶의 새로운 기병지’에 서겠다는 시인의 의지가 이후 어떤 시적 세계로 나아갈 것인지 자못 궁금해진다.
송태웅 시인은 1961년 전남 담양에서 출생하고 광주고와 전남대 국문과를 나왔다.
2000년 계간 『함께 가는 문학』 시 부문 신인상 수상을 수상하며 등단했으며, 시집으로 『바람이 그린 벽화』, 『파랑 또는 파란』 등이 있다. 지금은 지리산 자락인 전남 구례에 거주하며 지리산을 오르내리면서 지리산과 섬진강의 나날들을 시와 산문으로 그려내고 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