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도 내 바지락 생산량이 최근 5년 새 절반 가까이 급감하고 있는 가운데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는 해수 온도와 갯벌의 ‘뻘질화’가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충남도 수산자원연구소(소장 임민호)에 따르면 지난 2013년부터 2017년까지 5년간 도내 주요 갯벌 환경 변화 기초자료와 어업인에 대한 정보 제공을 위해 실시한 ‘갯벌생태환경조사’ 결과에 따른 것이다.
충남도수산자원연구소는 ▲서산 대산 오지리 ▲당진 석문 교로리 ▲태안 이원 사창리 ▲태안 소원 파도리 ▲ 태안황도 ▲보령 주교 송학리 ▲홍성 서부 상황리 ▲서천 장항 송림리 등 8곳을 대상으로 함수율·강열감량·입도 등 퇴적물과 수온·염분·수소이온농도·용존산소 등의 수질, 서식생물 종류 및 자원량 변화를 분기마다 살피는 갯벌생태환경조사를 실시했다.
조사 결과 연평균 수온은 태안 황도가 2013년 15.6℃에서 지난해 20.1℃로 4.5℃, 태안 파도리가 12.5℃에서 16.8℃로 4.3℃ 각각 오르는 등 서천 송림리를 제외한 나머지 조사지점에서 모두 오른 것을 확인했다.
이로 인해 8개 지점 평균 수온은 2013년 15.5℃에서 2017년 17.3℃로 1.8℃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와함께 갯벌의 뻘질화도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뻘질화의 원인인 모래보다 작고 점토보다 큰 토양입자인 '실트'질이 3곳에서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보령 송학리의 경우 실트질이 2013년 3.1%에서 지난해 5.8%로 2.7% 늘었으며, 서산 오지리 역시 3.1%에서 5.8%로 2.7%, 당진 교로리는 24.6%에서 28.1%로 3.5% 증가해 뻘질화 진행을 보였다.
반면 태안 파도리는 실트질 비율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고, 마을어장 환경 복원 사업의 일환으로 모래 살포 사업이 진행된 태안 사창리와 황도, 홍성 상황 등 3곳은 실트질 감소를 보였다.
이밖에 간조 시 갯벌 수분 함유량은 뻘질화가 진행 중인 3개 지점을 중심으로 증가세를 보였으나 퇴적물 내 유기물 총량인 감열감량은 최고 3.2%로 미국환경보호국의 퇴적물 내 유기물 오염 기준인 5%를 넘지 않았다.
이 같은 원인으로 도내 바지락 생산량은 2013년 3760t에서 2017년 1935t으로 무려 1825t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도 수산자원연구소는 이번 조사 결과를 갯벌 어장 복원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하는 한편 내년부터는 도내 주요 패류 생산지를 중심으로 갯발생태환경조사를 실시해 갯벌 환경 변화에 대응해 나아갈 계획이다.
연구소 관계자는 "해수 및 갯벌 온도 상승, 주요 강·하구에 설치된 둑과 항만 시설 개발, 기후변화 등에 따른 해류 및 퇴적물 변화 등이 갯벌 환경을 바꾸고, 이는 바지락 생산량 감소를 불러온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며 " 조사 결과를 토대로 갯벌 어장 복원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해 환경변화대응에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