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정상회담 개최를 하루 앞두고 열린 이 행사에는 경남대와 북한대학원대 교수, 북한학 연구자 등 50여 명이 참석했다.
한스 모드로 전 총리는 이날 강연회에서 최근 벌어진 한반도 정세를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그는 “지난해 7월 문재인 대통령의 베를린 선언 이후 평창동계올림픽과 남북정상회담, 북미정상회담 등이 열리면서 남북화해 분위기가 조성됐다”며 “남북한이 처음부터 큰 것을 바라보고 가기보다 작은 것부터, 실천할 수 있는 일을 하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또 “동독도 올림픽에서 단일팀을 꾸린 경험이 있다. 작은 이벤트가 사람들의 마음을 흔드는 게 있다”며 “(통일을 위한) 사회 구조가 만들어져야 하는데, 서로 가까워지려는 모습과 공통의 이해관계를 찾는 게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최근 발걸음이 주춤한 비핵화 논의에 대해서도 진지한 해법을 내놨다.
한스 모드로 전 총리는 “한반도에 핵무기가 있는 이상 안보위협이 고조된다는 점은 부인할 수 없다”며 “이럴수록 도발이나 협박보다 남북한이 상호 신뢰를 쌓는 게 중요하다. 문재인 대통령이 북미정상회담을 이끈 것은 좋은 신호다”고 말했다.
특히 한스 모드로 전 총리는 독일 통일 과정을 통해 얻은 경험으로 ‘계약공동체’, ‘연합국가’ 등의 방안을 제시했다.
계약공동체는 두 국가가 존속하면서 협력하는 과정으로 통일 이후 급격한 변화로 초래될 정치·사회적 혼란을 해소하기 위한 완충지대 역할을 한다.
끝으로 남북정상회담에 임하는 한국 정부에 “이산가족 상봉과 개성공단, 유라시아 철도 구상 등 여러 굵직한 현안이 있지만 한 덩어리로 보지 말고 단계적으로 추진해야 한다”며 “중요한 건 대북정책의 일관성으로, 어떤 정권이 들어서도 합의문을 이행할 수 있도록 법·제도적 장치를 마련하는 게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한편, 한스 모드로 전 총리는 1928년 출생한 한스 모드로 전 총리는 동독의 정치인이자, 공산당 마지막 수장을 지냈다.
2차 세계대전(1942-1945, 국민돌격대 소속으로 참전) 당시 전쟁포로가 된 후 사회주의통일당(SED)에 입당해 본격적인 정치인 인생을 걸어왔다.
1990년 베를린 장벽이 무너진 후 동독에서 여행과 언론 자유 보장 등 개혁 정책을 추진했다.
통일 이후에는 5년 간 유럽의회 의원(1999년 7월 20일~2004년 7월 19일)을 지내는 등 꾸준하게 대외활동을 펼쳤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