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회의에서는 ‘한반도 신경제구상, 일대일로 이니셔티브와 한중협력’을 주제로 열렸다.
이관세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소장은 개회사에서 “남북한 철도․도로 연결은 한반도의 혈맥을 복원하는 사업”이라며 “남북한의 철도․도로가 중국의 일대일로와 접합된다면 이를 통해 동북아 경제공동체 건설에 한 걸음 가깝게 다가갈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소장은 이어 “문재인 정부는 남북한 간 신뢰 증진을 위한 노력뿐 아니라 역사적인 북․미 정상회담 성사 등 한반도 평화 정착을 위해 많이 노력해 온 것이 사실이다. 오는 18일부터 평양에서 개최되는 남북정상회담에서도 한국 정부는 한반도 평화 정착을 위해 보다 실질적으로 최선을 다 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조명균 통일부 장관은 박형일 통일부 정책협력관이 대독한 축사에서 “중국 일대일로 구상의 핵심은 경제회랑 건설이다. 남북이 판문점선언에서 합의한 철도․도로 연결과 현대화를 통해 한반도 종단철도와 시베리아 횡단철도, 중국․몽골․러시아 경제회랑이 연결된다면 유라시아 대륙의 운송망이 완성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한반도 정세의 긍정적인 변화는 남북의 노력에 한반도의 주변 국가들이 힘을 실어 주었기에 가능할 수 있었다. 중국이 올해 세 차례 북중 정상회담을 통해 북한의 비핵화 결단을 도왔다”고 평가했다.
닝푸쿠이 중국 외교부 한반도사무 부대표는 축사를 통해 “한국 정부는 한반도 신경제구상과 신북방정책을 추진하고 있고, 북한은 인민경제 개선을 위한 의지를 갖고 있다”며 “남북한, 중․한, 중․조, 중․조․한 협력을 통한 경제발전을 바탕으로 역내 안보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닝푸쿠이 부대표는 “중국의 일대일로와 한국의 신경제구상이 연동돼 역내 무역관계를 활성화하고, 북한 경제가 개선돼야 (한반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며 “한반도 정세가 긍정적으로 급격하게 변화한 배경에는 공통된 이익을 갖고 공통된 해결 방안을 주장하는 중국과 한국의 공동 노력이 깔려있다”고 설명했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 부총장은 “한반도 신경제구상은 중국의 일대일로, 러시아의 신동방정책과 함께 동북아의 협력모델을 만들려는 것”이라며 “유럽처럼 경제협력을 통해 평화를 조성하고, 평화를 통해 경제적 이익을 극대화하는 ‘평화와 경제의 선순환’을 만들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진 회의에서는 양문수 북한대학원대학교 부총장이 ‘한반도 신경제구상 실현을 위한 한중협력 방안’, 허근화 중국인민대학 국가발전과전략연구원 부원장이 ‘일대일로 친환경적 발전 배경 하의 중-한 그린에너지 협력’, 류서 중국인민대학 경제학원 교수가 ‘한반도 평화와 중국 동북경제 진흥의 기회’를 주제로 각각 발표했다.
이에 대해 안국산 연변대학 조선반도연구중심 경제연구소 소장, 이상만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교수, 이영훈 SK경영경제연구소 수석연구원, 마득용․보건운 중국인민대학교 국제관계학원 교수 등이 토론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