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반도체 수출동향 ⓒ 한국은행 대전충남본부
충남의 주력산업인 IT산업의 경쟁력 유지를 위해서는 시스템 반도체 육성과 융・복합기술 개발 등 IT산업 고도화와 인프라 구축 및 정주환경 개선 등 IT 관련 투자환경 개선, 인도 및 ASEAN 국가 등으로의 수출시장 다변화 등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됐다.
충남 IT산업은 반도체와 디스플레이를 중심으로 지역 주력산업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데, 제조업 생산의 21.4%(2016년), 수출의 69.1%(2017년)를 차지하고 있다.
충남 IT산업 종사자 수는 422개 업체에 총 4만423명(2015년)으로 지역 주력산업 중 가장 많으며, 근로자는 대부분 디스플레이(2만 4542명, 60.7%)와 반도체(1만 204명, 25.2%) 업종에 종사한다.
IT산업 사업체는 대부분 수도권과 인접한 천안(267개), 아산(126개)에 위치해 있다.
한국은행 대전충남본부의 배준성-김부경 과장이 공동 작성한 ‘충남 IT산업 현황 및 잠재리스크 점검 –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를 중심으로’를 보면, 충남 IT산업 생산 증가율은 점차 축소돼 2/4분기 중에 15.5%로 둔화됐고, 수출도 디스플레이 분야에서 금년부터 감소로 전환됐다.
충남 IT산업의 반도체 수출에서 중국과 홍콩이 차지하는 비율은 67.8%, 디스플레이도 42.6% 차지할 만큼 편중돼 있다.
중화권 및 베트남 이외의 신흥시장국과 선진국으로의 수출 비중은 미미한 실정이다.
충남 IT산업은 중국의 대규모 투자 및 기술추격, 미・중 통상갈등 심화, 낮은 부가가치 등의 리스크도 지니고 있다.

세계 반도체 소비 시장 규모 및 중국 비중 ⓒ 한국은행 대전충남본부
이 펀드를 통해 3개의 메모리 반도체 공장을 신규 설립해 금년 하반기부터 낸드플래시, D램 등의 제품을 양산할 예정이다.
미‧중 통상갈등 심화에 따른 미국의 중국에 대한 고율관세 부과도 대중 수출비중이 높은 충남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산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크다.
충남 전체 및 충남 IT산업의 대중 수출비중이 각각 52.0%, 58.3%를 차지하는 가운데 이중 중간재 수출 비중은 각각 87.9%, 84.5%에 달한다.
중국의 대미수출은 전체 수출의 18.9% (2017년 기준)를 차지하고 있어 미・중 통상갈등 심화로 중국의 대미수출이 감소할 경우, 이는 충남 중간재 수출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IT제품의 대중수출 감소로 이어질 우려가 높다,
대중 중간재 수출중 IT산업의 비중은 약 74.6%인데 반도체 부문이 64.8%를 차지하고 있다.
중국의 대규모 IT산업 투자를 통한 기술추격 및 시장잠식에 대응하고 부가가치가 낮은 산업구조를 개선하기 위해 충남지역 IT산업의 고도화가 요구된다.

전세계 OLED 라인 설비투자 전망 ⓒ 한국은행 대전충남본부
시스템 반도체 시장은 메모리 반도체에 비해 안정적 수급여건을 갖추고 있어 공급과잉 등의 리스크가 상대적으로 낮은 데다 IoT, 인공지능 등의 분야에서 수요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디스플레이 분야는 품목의 전환(LCD→OLED)을 지속하는 가운데 융・복합 기술 개발을 통해 신시장을 개척하면서 주력품목의 다변화가 요구된다.
융・복합 기술이 적용된 차량용 디스플레이 시장은 2017년 116억달러에서 2022년 208억달러로 약 2배가량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충남지역에 우수한 IT관련 기업을 유치하고 이들 기업의 과감한 투자를 통한 경쟁력 향상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관련 인프라 구축과 정주환경 개선 등이 선행되어야한다.
반도체 인프라를 정비하고 R&D 집적지구를 개발해 시스템 반도체 산업의 핵심공정에 해당하는 팹리스(Fabless) 기업 유치에 적극 노력할 필요가 있다.
기술력 있는 중소벤처기업 중심으로 팹리스 기업을 유치할 경우 충남지역 반도체 산업내 대기업-중소기업간 협업생태계 조성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충남 제조업 및 IT산업 생산 동향(분기별) ⓒ 한국은행 대전충남본부
미・중 통상갈등 등 보호무역으로 인한 잠재리스크를 줄여나가기 위해 한국기업의 새로운 생산기지이자 소비시장으로 부상하고 있는 인도 및 ASEAN 국가 등으로의 수출 다변화를 도모해야한다.
인도와 인도네시아는 세계적으로 거대시장이 형성된 데다 최근 비교적 높은 성장률(약 5~7%)을 유지하고 있다.
구매력으로 측정한 GDP(2017년) 규모는 9.5조달러(인도)와 3.2조달러(인도네시아)에 달한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