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도시철도 2호선 1단계(시청~광주역) 구간 개통 시기가 당초 2026년에서 2027년 말로 1년 가량 늦춰진다.
광주시는 이번 결정이 "예상치 못한 지반 조건 변화와 집중호우 등 현장 변수에 따른 불가피한 조정"이라고 19일 밝혔다.
2호선 1단계 공사는 설계 단계에서 가정한 조건과 실제 굴착 환경이 크게 달랐던 것으로 나타났다.
공사 과정에서 암반은 예측 대비 1.4배, 전력선·도시가스관·상·하수관로 등 지장물은 1.8배 더 많이 발견됐다. 이는 공정 전체에 영향을 미치며 일정 지연의 핵심 요인이 됐다.
지난 7~8월 발생한 하루 최대 426㎜에 이르는 극한 호우도 공사에 치명적인 영향을 줬다. 일부 정거장은 전면 침수되며 복구와 안전성 재점검 작업이 뒤따랐다.
광주시는 이러한 현장 여건을 종합적으로 반영해 토목 이후 이어질 건축, 전기·신호·통신, 소방 등 10개 분야 세부 공정을 통합 분석한 결과, 기존 계획으로는 정상적인 시운전 및 개통 절차가 어렵다고 판단했다.
현재 토목 공정률은 95.2%다. 시는 2026년 말까지 토목·건축·전기·신호·통신 공사를 마무리한 뒤, 약 1년간의 시운전을 거쳐 2027년 말 개통을 추진한다. 시운전은 철도안전법과 철도종합시험운행 지침에 따라 필수적으로 진행돼야 하며, 안전성 검증 없이는 개통이 불가능하다.
오영걸 광주시 도시철도건설본부장은 "지장물·암반 증가와 극한 호우 등 예측하기 어려운 변수들이 겹쳤다"며 "일정은 조정됐지만 도로 개방은 계획대로 추진하고, 남은 공정 관리도 강화해 2027년 말 개통에 차질이 없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