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자치도 올림픽유치추진단의 올해 예산집행률이 30%에도 못 미치는 등 운영 전반의 재조율이 필요하다는 도의회의 지적이 나왔다.
김성수 문화안전소방위원회 부위원장(고창1)은 14일 열린 제423회 전북도의회 제2차 정례회 행정사무감사에서 집행부의 올림픽 유치 추진에 강한 우려를 제기했다.
추진단의 올해 예산 집행률은 9월 말 현재 30%에도 못 미치는 등 집행 부진으로 인해 3회 추경에서 40억원 이상이 감액될 예정이다. 그중에서 홍보와 국외활동 관련 예산이 감액의 80%를 차지한다.
김성수 부위원장은 "이는 예산이 처음부터 명확한 계획과 근거 없이 주먹구구식으로 편성되었다는 것을 여실히 보여준다"며 "내년 예산안에서도 이러한 문제는 반복되고 있다"고 질타했다.
추진단이 요구한 93억원 중 21억원이 감액된 72억원이 내년 예산안에 편성됐지만 그중에서 홍보성 예산만 53억원으로 전체의 75%에 달한다.
김성수 부위원장은 "반면에 평가대응과 관련 예산은 행정운영비를 제외하면 7000만원에 불과하다"며 "이런 예산 구조로 제대로 된 국제대응이나 평가절차가 이루어질 수 있을지 의문"이라고 문제를 제기했다.
김성수 부위원장은 또 전날 보도와 관련해 "서울시와 체육시설 사용 협의를 마쳤으면 그 과정에서 의회에 충분히 상황을 보고하고 이후 도지사와 전주시장이 함께 공동기자회견이라도 해야 하는 것 아니냐"며 거듭된 소통 부족함을 지적했다.
김성수 부위원장은 "전북도와 서울시가 함께 올림픽을 치르더라도 전북이 '이름만 빌려주는 개최지'가 되어서는 안된다"며 "전북 몫, 전북 역할, 전북투자 대비 효과를 확실히 확보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부위원장은 "도민이 주체가 되는 올림픽이어야지 전북이 주변부로 밀려나는 유치가 되어서는 안된다"고 덧붙였다.
박용근 무소속 의원은 이날 "전주 하계올림픽 유치 추진과 관련한 앞뒤 말이 모두 다르다"며 "다른 지역과의 연대도시냐, 공동 개최이냐"고 따져 물었고 유희숙 단장은 "지방연대 가치를 살리면서 올림픽 유산이 있는 서울과 연대도시로 가고 있다"고 말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