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군이 지난 5월 29일 경북 포항에서 발생한 해상초계기(P-3CK) 추락사고의 구체적 원인을 끝내 규명하지 못했다.
사고기는 비행기록장치(FDR)가 장착되지 않았고, 음성녹음장치(CVR) 역시 충돌과 화재로 심각하게 훼손돼 복구가 불가능했다.
해군은 13일 서울 용산 국방부 기자실에서 조정권 민관군 합동사고조사위원회 위원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사고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날 조사위는 “약 6개월간의 조사 끝에 기계적·인적·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 실속(비행 속도가 낮아 양력이 상실되는 현상)이 발생해 항공기가 조종불능 상태에 빠졌다”고 밝혔다.
사고기는 제주기지에서 포항비행장으로 이동해 착륙훈련을 마친 뒤 재이륙 과정에서 활주로 남동쪽 약 1.6㎞ 지점에 추락했다.
해군에 따르면 상승 선회 중 기체 속도가 점차 감소하고 고도 상승이 둔화되면서 실속이 발생한 것으로 확인됐다.
해군 관계자는 “엔진, 유압, 연료계통 등 주요 장비는 충돌 직전까지 정상 작동했다”며 “1번 엔진 내부에서 이물질에 의한 손상이 발견됐지만 출력 변화는 크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다만 사고기에는 실속 경보장치가 없고, 받음각 지시계 또한 조종사 시야에서 벗어난 위치에 있어 실속 징후를 즉각 인지하기 어려웠던 점이 사고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조사됐다.
해군 관계자는 “이번 사고를 통해 실속 경보장치 등 조종사 경고 시스템의 중요성을 재확인했다”며 “유사 사고 방지를 위해 P-3CK 항공기의 경고·표시장치 개선과 조종사 훈련 강화를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