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전문가 일각에서 제안하는 전주하계올림픽의 서울과 공동 유치와 관련해 전북자치도가 "그동안 공동 유치를 언급한 적이 없고 생각하고 있지도 않다"며 명확히 선을 그었다.
올림픽과 관련한 국내 최고 전문가로 알려진 윤강로 국제스포츠외교연구원장은 지난달 17일 기고를 통해 "전주가 내세운 하계올림픽 '지방분산 유치안'은 인프라 부족과 국제적 인지도 결여로 현실적 어려움에 직면해 있는 것이 사실"이라며 "이런 상황에서 서울-전주 공동 유치로 전격적인 방향 전환은 더 이상 선택이 아닌 필수라는 생각"이라고 제안했다.
윤강로 원장은 그동안 전북자치도와 전주시에 하계올림픽 유치 관련 자문을 해온 국내 최고의 전문가이자 전북도와 전주시 초청을 통해 전북에서 세 차례의 올림픽 유치 관련 강연을 한 당사자이다.
윤강로 원장은 당시 기고문에서 "전주가 기득권을 주장하기보다는 유치에 성공하는 최선의 방법을 찾는 게 '윈윈 전략'이 될 수 있다"며 "지방분권화에 방점을 찍는 단독 유치안 고수와 현재까지 보여준 소극적 접근은 하계올림픽 유치경쟁에서 대한민국이 탈락할 위험을 내포하고 있다"고 우려를 표시하기도 했다.
전북자치도는 이에 대해 "서울과의 공동 유치는 생각하지 않는다"는 말로 '단독 유치'의 명확한 입장을 밝혔다.
서배원 전북도 하계올림픽 유치총괄과장은 11일 "(서울-전주 공동 유치는) 윤강로 원장 개인의 의견일 뿐이다"며 "전북도는 그런 말을 한 적이 없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서배원 과장은 윤 원장을 초청해 강의를 듣는 등 조언을 구한 것과 관련해 "그 분(윤 원장)의 노하우는 당연히 배워야 된다"며 "민간에서는 서울을 끌어들여서 같이 해야 된다는 요구가 있지만 서울은 일부 경기를 할 수 있는 연대도시이지 공동으로 하는 것은 아직 생각한 적 없다"고 거듭 피력했다.
서배원 과장은 종목별 경기장 배치계획안과 관련해 서울 경기장 8곳을 활용하는 방안과 관련해서 "IOC가 요구하는 국제규격의 경기장을 서울만 가지고 있는 게 몇 개 있다"며 "그런 경기장 사용 부분에 대해서는 시설관리 주체들에게 다 사용 승낙을 받았다"고 말했다.
앞서 지난 6일 군산의 한 올림픽 유치 설명회에서는 "경기장 관리주체인 서울시설공단, 국민체육진흥공단 측으로부터 사용 승인에 대해선 긍정적인 답변은 받은 상황"이라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서배원 과장은 "다만 도시 간에 협약을 한다든지, 이런 것들은 계속 서울뿐만 아니라 대구 등 이런 도시들과 앞으로 해나가야 될 과정을 계속 협의 중"이라며 "왜냐하면 서울의 경기장도 서울시가 갖고 있는 것보다 국민체육진흥공단이 갖고 있는 게 더 많다"고 말했다.
전북도는 하계올림픽 유치를 위한 51개 경기장 중에서 축구예선(서울월드컵경기장)과 체조·핸드볼 결승(올림픽공원 제1체육관), 테니스(올림픽테니스경기장) 등 8개 종목 경기장을 서울에서 진행하려는 계획을 갖고 있다.
전북도는 서울을 포함한 경기도와 대구, 대전 등 8개 광역단체 내 19개 경기장 활용 방안을 염두에 두고 있다.
서배원 과장은 "지금 필요한 시설들을 IOC 요구 조건에 맞추기 위해 실행 TF를 운영하고 있다"며 "충분하게 유치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서 MOU라거나 이런 것들을 할 수 있는 부분을 찾아보고 있다"며 "특수한 지형이 필요한 종목들은 주 개최지에서 멀리 떨어지는 것을 IOC도 용인을 하는 부분"이라고 강조했다.
전북자치도는 일부 종목의 경기장에 한해 IOC가 요구하는 50㎞ 이내와 1시간 이내 조건을 맞추기 어렵다면 '전주선수촌' 외에 현지에 '선수촌 ㅇㅇ분촌'을 두는 방안까지 고민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