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는 인공지능(AI) 정책의 방향성과 실행 방안 자문을 맡을 ‘경기도 인공지능위원회’를 출범시켰다.
11일 도에 따르면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이날 경기도서관 AI스튜디오에서 열린 출범식에서 “위원회 활동을 경계와 한계 없이 펼쳐달라”며 “결정사항이 도정에 100% 반영된다고는 장담할 수 없지만, 참신한 아이디어를 통해 도정에 영감을 주고 반영될 수 있길 바란다”고 말했다.
김 지사는 “경기도가 대한민국 최초로 AI국을 신설했다”며 “전문가와 현장의 다양한 의견을 통해 도정이 한 단계 발전할 수 있도록 도와달라”고 당부했다.
위원회는 ‘경기도 인공지능 기본조례’를 근거로 신설된 공식 자문기구다. 행정과 산업, 기술과 윤리, 공공과 민간을 연결하는 ‘AI 협의 플랫폼’으로서 ‘사람 중심의 책임 있는 AI’를 핵심 가치로 심의안건 제안 시 회의는 수시 개최할 예정이며 자문위원의 AI 정책 상시 협의 공간까지 제공할 예정이다.
공동위원장은 김 지사와 강경란 아주대학교 소프트웨어융합대학 학장이 맡았다.
강 학장은 “AI 기술이 발전하더라도 사람이 소외되어서는 안 된다”며 “산업 발전과 경제 활성화 속에서도 취약계층이 최소화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위원회는 기업, 학계, 법조계, 시민단체 등 AI 분야 전문가 22명으로 구성됐다. 이 중 민간위원 19명은 △AI정책·윤리 △AI융합산업 △AI혁신행정 등 3개 분과에 배정됐다.
분과별 역할을 보면 AI정책·윤리분과는 김명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AI안전연구소장이 분과위원장을 맡아 공정성·투명성·책임성 확보 및 도민 대상 AI서비스 자문을 담당한다.
AI융합산업분과는 김현곤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장이 분과위원장을 맡아 기업 육성, AI산업 클러스터 구축, 인재양성 등을 추진한다.
AI혁신행정부문은 고영인 도 경제부지사가 분과위원장을 맡아 행정서비스의 AI 적용과 정보보안, 인프라 고도화 사업을 자문한다.
도는 위원회 출범을 계기로 민간전문가 협업을 강화하고, 인공지능 기술을 도민 삶의 질 개선으로 연결하는 다양한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특히 AI 등록제, 생성형 AI 행정서비스, 피지컬 AI 확산 등 주요 정책의 실현에 중추적 역할을 수행할 예정이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