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 돌봄과 사회적 고립으로 어려움을 겪는 청년들을 위한 전북특별자치도의 지원사업이 실질적인 성과를 내며 자립의 발판을 마련하고 있다.
전북도는 위기청년의 삶을 회복시키기 위한 시범사업을 성공적으로 추진하며, 2026년 본사업 전환을 준비 중이다.
전북도는 지난해 보건복지부 공모사업에 선정된 이후, 청년미래센터를 중심으로 ‘가족돌봄청(소)년 및 고립은둔청년 전담지원 시범사업’을 운영해왔다. 단순한 일회성 지원을 넘어, 청년들이 스스로의 삶을 돌보고 사회로 복귀할 수 있도록 돕는 통합 복지 모델을 구축했다.
‘가족돌봄청(소)년 지원사업’은 가족의 질병이나 돌봄 부담으로 학업과 취업을 이어가기 어려운 청년에게 자기돌봄비 200만 원을 지원하고, 상담·사례관리를 통한 맞춤형 프로그램을 제공했다.
현재까지 400명이 지원을 받았으며, 이 중 240명은 교육·주거·법률·일자리 등 5개 분야의 서비스를 연계해 실질적인 변화를 이끌었다. 또한 ‘고립은둔청년 지원사업’은 사회적 단절 상태에 있는 청년을 발굴해 심리상담과 사회 복귀 프로그램을 지원했다.
지금까지 700여 명이 참여했고, 일부 가정에서는 가족 관계 회복이라는 의미 있는 성과도 나왔다. 특히 심리상담(184%)과 공동생활가정 지원(196%) 등 주요 지표에서 계획을 크게 웃도는 실적을 거두며 사업의 효과성을 입증했다.
전북도와 청년미래센터는 청년 주도형 참여 프로그램도 확대했다. 북콘서트, ‘위퀴즈(We Quiz)’ 캠페인, 자조모임, 온라인 챌린지 등 다양한 방식으로 청년들의 사회적 연결망을 넓히고, 도내 18개 유관기관과 협약을 맺어 보건·복지·고용 등 분야별 지원 네트워크를 강화했다.
전북도는 이번 시범사업의 성과를 토대로 2026년부터 본사업을 본격 추진할 계획이다. 청년미래센터를 중심으로 지원 대상을 확대하고, 기존 복지서비스와 연계해 청년 자립의 지속가능한 체계를 만들어간다는 방침이다.
양수미 전북도 사회복지정책과장은 “이번 시범사업은 단순한 지원이 아니라 청년들에게 ‘다시 일어설 수 있다는 믿음’을 심어준 계기”라며 “정책적 지원이 청년들의 새로운 출발로 이어질 수 있도록 자립 기반을 더욱 탄탄히 하겠다”고 밝혔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