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전 대통령 부부가 경복궁 건청궁을 방문한 후 건청궁 내 공예품 대여를 문의한 것으로 확인됐다. 윤 전 대통령 부부의 조선 왕궁 방문 후 이해하기 힘들었던 행각이 계속 확인되는 모습이다.
6일 더불어민주당 김준혁 의원실은 윤석열 정부 대통령실 관계자를 통해 지난 2023년 3월 6일 대통령실이 정성조 당시 궁능유적본부장에게 전화해 '건청궁의 공예품을 빌릴 수 있느냐'고 물었던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윤 전 대통령 부부는 바로 전날인 3월 5일 건청궁을 방문했다.
대통령실 문의를 받은 궁능유적본부는 '건청궁의 공예품은 진본을 대신해 전시할 목적으로 국가무형유산 전승자들이 제작한 재현품으로, 전시용을 제외한 일부 공예품은 대여가 가능하다'고 회신했다.
이후 대통령실은 2023년 3월 14일 궁능유적본부로부터 △보안 2점 △보함 2점 △주칠함 2점 △백동 촛대 1점 △사방 탁자 2점 등 9점의 공예품을 대여했다.
보안(寶案)은 어좌 앞에 두는 탁자로 의례용 인장인 어보(御寶, 옥새)를 올려두는 용도로 쓰였다. 보함(寶函)은 어보를 보관하는 상자다. 주칠함은 왕을 상징하는 붉은색으로 칠한 상자다.
당시 대통령실은 궁능유적본부에 보낸 공문에 '대통령실 주최 국가 주요 행사용 물품 전시'가 필요하다는 점을 대여 목적으로 들었다. 공문은 이들 물품을 대통령실 청사 등에 배치해 '한국 문화의 우수성을 홍보'하겠다고 했으나, 대여한 물품이 실제 어느 장소에 전시됐는지는 관련 기록이 삭제돼 확인할 수 없다.
대통령실은 윤 전 대통령이 파면된 이후인 올 4월 15일 9점을 모두 궁능유적본부에 반환했다.
김 의원은 6일 열린 운영위원회 대통령실 국정감사에서 윤 전 대통령 부부가 건청궁을 방문한 후 옥새 등을 관저로 가져가기도 했다고 주장했다.
김 의원은 "김건희 씨가 윤석열과 건청궁을 방문한 직후 대통령비서실이 건청궁 물품을 빌려달라고 했다"며 "김건희 씨가 이들 물품을 사적으로 쓴 것 아니냐"고 의혹을 제기했다.
이날 국감에 출석한 강훈식 대통령 비서실장은 "김건희 씨가 주요 문화재에 함부로 들어가 국민의 역린을 건드린 사태를 발본색원하고 내용을 다 확인해 보고드리겠다"고 했다.
건청궁은 경복궁 내 가장 깊숙한 곳에 자리한 궁으로 조선 26대 왕인 고종과 명성황후의 집무·생활공간이다. 내부 관람이 제한된 장소다. 윤 전 대통령 부부는 건청궁을 방문해 명성황후 침전인 곤녕합에 단둘이 들어가 10여 분을 머무른 바 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