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이 지난달 말 서해 한중 잠정조치수역(PMZ)에서 중국이 무단 설치한 구조물 점검에 나선 한국 조사선을 중국 해경이 막아섰다는 의혹에 대해 "구조물에 대한 조사가 아니고, 매년 연례적으로 하는 해양조사"라며 "중국 측의 위협 등의 행위는 없었다"고 밝혔다.
전 장관은 30일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의 국정감사에서 국민의힘 이만희 의원이 "우리 조사선이 (서해의 중국) 구조물을 조사할 때 방해받은 사례가 있느냐"고 묻자 이 같이 답했다.
전 장관은 "9월에는 (중국 측의) 방송이나 근접해서 방해하든지 그런 행위는 없었다"며 "(필요하면) 우리 해경도 동조해서 대응하는 것으로 (하겠다)"고 말했다.
아울러 "해양 조사 내용을 보관하고, 필요하면 밝혀달라"는 이 의원 요구에는 "그럴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미 싱크탱크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가 지난 27일(현지시간) 발간한 '잠정조치수역에서의 한중 대치'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달 24일 해수부 산하기관의 해양조사선인 온누리호가 서해 잠정조치수역에 진입하자 중국 해경 경비함 한 척과 중국 해경 함정 두 척이 온누리호 쪽으로 접근했다.
이튿날인 25일 온누리호와 한국 해경 함정이 잠정조치수역에 중국이 설치한 양식 구조물 선란 1호와 2호에 접근하자 중국 해경 함정 두 척이 온누리호를 에워싸는 등 대치 상황이 벌어졌고, 중국 함정은 온누리호와 해경 함정이 잠정조치수역을 벗어날 때까지 15시간 동안 추적했다고 CSIS는 밝혔다.
외교부 당국자는 "중국 측의 기동이 있기는 했으나 직접적 방해 없이 우리 조사선이 조사 활동을 정상적으로 완료한 것으로 알고 있다"며 "우리 해경도 중국 측 조사선 발견 시 동일하게 대응한다고 안다"고 전했다.
지난 2월 26일에도 온누리호가 잠정조치수역에서 중국의 철골 구조물 점검에 나섰다가 이를 중국 해경이 막아서면서 양측 해경이 대치하는 일이 발생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