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특별자치도가 내년도 국가예산 확보를 위해 국회와의 협력체계를 본격 가동했다.
30일 서울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전북 지역·연고 국회의원 예산정책협의회’에는 김관영 전북자치도지사와 지역구·연고 의원들이 참석해 2026년도 예산 증액 전략과 지역 주요 현안을 논의했다.
 
									
협의회는 오전 지역 국회의원 회의와 정오 연고 국회의원 회의로 나뉘어 진행됐다. 김 지사는 도정 주요 현안과 부처별 건의사업을 공유하며 “지역 현안과 예산 심의가 맞물린 결정적 시기인 만큼, 도와 정치권이 긴밀히 협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북도는 올해 정부 예산안에서 9조 4585억 원을 확보했지만, 새만금·AI·문화·복지 등 핵심 분야 70여 개 사업이 과소·미반영된 점을 지적하며 국회단계 증액 필요성을 제기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지역별 주요사업으로 △국립모두예술콤플렉스 건립 △AI 융합 영화·영상 실증지원센터 건립 △협업지능 피지컬AI 기반 SW플랫폼 조성 △국립 의용소방대 연수원 건립 △새만금 국가정원 조성 △국립익산식품박물관 건립 △동물의약품 임상시험센터 구축 △기초연구인프라 연구시설 구축 △AI 기반 차세대 엑소좀 기술 및 표준화 개발 △전북 혁신도시 종합사회복지관 건립 등이 중점 검토됐다.
 
 
									
전북의 미래 성장축과 국가균형발전을 위한 전략 과제도 함께 논의됐다. 주요 안건으로는 △2036 전주하계올림픽 유치 △RE100 산업단지 조성 특별법 제정 △새만금 RE100 산업단지 선도지역 조성 △핵융합 핵심기술 개발 및 첨단인프라 구축 부지 유치 공모 △제2중앙경찰학교 설립 부지 선정 △자산운용 중심 전북 금융특화도시 조성 △주요 SOC 국가계획 반영 등이 제시됐다.
김 지사는 협의회 직후 박주민 국회 보건복지위원장을 만나 △전북권역 통합재활병원 △한의임상교육센터 설립 △공공보건의료대학 설립·운영 법제화 등 보건복지 분야 현안을 건의하며 입법과 예산 지원을 요청했다.
 
 
									
정오에 열린 연고 국회의원 협의회에서는 새만금·AI·농생명·문화산업 등 미래 성장 기반 강화를 위한 총 28건의 상임위별 증액 사업이 논의됐다. 전북도는 정부안에서 누락·축소된 사업의 국회단계 반영을 요청하고, 주요 현안 및 입법지원 방안도 함께 협의했다.
전북도는 향후 국회 예결위 및 상임위 심의 일정을 면밀히 모니터링하며, 도지사·부지사·실국장이 직접 나서는 면담체계를 가동할 방침이다. 또한 국회 상주반을 운영하고, 도-시군-정치권 간 협업 구조를 유지해 심의 과정에서 즉각 대응이 가능하도록 할 계획이다.
김관영 도지사는 “지역 현안과 예산 심의가 맞물린 중요한 시기인 만큼, 지역 의원들과 긴밀히 협력해 실질적인 성과를 내겠다”며 “국회 심의가 끝나는 순간까지 전북 예산이 한 건이라도 더 반영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