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0·29 이태원참사 3주기인 29일 강기정 광주광역시장이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열린 '이태원참사 3주기 기억식'에 참석해 희생자들의 넋을 기렸다.
이날 행사는 정부가 주관한 첫 공식 추모행사로, 김민석 국무총리와 우원식 국회의장을 비롯해 유가족·시민단체·시민 등 2000여 명이 참석했다. 오전 10시29분 서울 전역에서 추모 묵념으로 시작된 기억식은 추모영상 상영, 추모사, 추모공연, 공동선언문 낭독 등으로 이어지며 참사의 아픔을 함께 되새겼다.
강기정 시장은 "광주는 이태원참사를 결코 잊지 않았다"며 "가장 먼저 '사망자' 대신 '참사 희생자'라는 명칭을 사용하며 사회적 애도의 출발을 열었다"고 밝혔다.
이어 "유가족의 고통을 함께 품고 생명과 안전의 가치를 지키는 도시, 광주가 되겠다"며 "이태원참사는 우리 사회가 잊지 말아야 할 아픔이며, 다시는 같은 비극이 반복되지 않도록 모두가 함께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강 시장은 또 "광주는 시민의 생명과 안전을 최우선 가치로 삼아 재난으로부터 더 강하고 안전한 공동체를 만들어가겠다"고 다짐했다.
광주시는 이태원참사 3주기를 맞아 시민과 함께하는 추모 분위기 확산에 나섰다. 지난 24일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상상마당에서는 유가족과 시민 1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10·29 이태원참사 3주기 광주 추모행사'가 열렸다.
이날 행사는 사전 추모공연, 시 낭송, 추모영상 상영, 추모사, 헌화 및 애도 시간 등으로 구성돼, 시민들이 함께 참사의 아픔을 되새기고 희생자들을 기리는 시간을 가졌다.
참사 당일인 29일, 광주시청을 비롯해 자치구와 직속기관, 사업소, 출장소 등 모든 공공기관 청사에는 조기가 게양됐다. 조기는 오전 7시부터 자정까지 게양됐으며, 희생자들의 넋을 기리고 재발 방지의 다짐을 담았다.
광주시는 지난 27일 전체 공공기관에 공문을 발송해 조기 게양 시행을 안내하고, 추모 분위기 조성에 적극 동참해 줄 것을 요청했다.
강기정 시장은 "이태원참사의 교훈은 단지 추모로 그칠 수 없다"며 "시민의 안전을 지키는 행정 시스템과 재난 대응 체계를 더욱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광주시는 시민의 생명과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는 도시 정책을 추진하며, 안전 점검 강화와 재난대응 매뉴얼 재정비 등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방침이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