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일 열린 국회 행정안전위원회의 대구시 국정감사에서 주호영 국민의힘 의원(대구 수성갑)이 ‘TK 신공항’ 명칭과 사업 추진 방식의 문제점을 지적하며 “본질은 전투비행단 이전이지, 새 공항 건설이 아니다”고 강조했다.
정치권에서는 주 의원의 연이은 발언이 TK 신공항 사업의 성격을 ‘군공항 이전 중심’으로 재정의하려는 시도로 평가한다.
주 의원은 이날 “TK 신공항이라는 표현이 오해를 낳고 있다”며 “대구 도심 공군 비행단을 옮기는 사업인데, 타시도에서 듣기엔 대구에 새 공항이 생기는 것처럼 느낀다”고 말했다.
이어 “국가시설 이전을 지방정부에 떠넘기는 건 갑질”이라며 “군사시설은 국가가 책임지고 추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또 “공항 명칭이 혼선을 일으켜 지역 간 갈등을 키우고 예산 부담 논란까지 번지고 있다”며 “중앙정부가 정확히 사업 성격을 정의하고 국민에게 설명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현재 ‘TK 신공항’은 대구 도심의 공군기지를 경북 의성·군위 일대로 이전하는 사업이다. 그러나 명칭에 ‘신공항’이 포함되면서 신규 공항 건설로 오해받는 사례가 잇따르고 있다.
주 의원은 “군공항, 민간 공항은 국가 시설이다”라며, “지자체가 재정과 행정 부담을 떠안는 구조는 부당하다. 국가가 직접 사업 주체가 돼야 한다”고 말했다.
김정기 대구시장 권한대행도 "시 재정으로는 도저히 한계가 있다"고 인정했다.
주 의원은 지난 24일 대구 엑스코에서 열린 ‘대구의 마음을 듣다 타운홀미팅’에서도 같은 취지의 발언을 한 바 있다. 당시 그는 “70년간 소음 피해를 감내해온 대구에 20조 원 넘는 군공항 이전 부담을 지우는 건 나라의 갑질”이라고 강하게 말했다.
이에 대해 이재명 대통령은 “실현 가능성과 재정 여력을 함께 검토하겠다”고 답했다.
한편 TK 신공항 사업은 총사업비 약 14조 원 규모로, 2030년 완공을 목표로 추진 중이다.




전체댓글 0